전주시, 함께 행복한 공동주택 상생문화 만든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3 18:45:19
  • -
  • +
  • 인쇄
시, 3일 행복한 공동주택을 만들기 위한 ‘전주시 공동주택 상생문화 선언식’ 개최
▲ 전주시, 함께 행복한 공동주택 상생문화 만든다!

[뉴스스텝] 전주시가 입주민과 관리노동자가 함께 행복한 공동주택 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시는 3일 CGV 전주고사점에서 우범기 전주시장과 신유정 전주시의회 의원, 공동주택 경비원, 공동주택 관리업체, 공동주택 입주민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지역 공동주택 관리노동자의 노동 인권을 보호하고, 입주민이 쾌적하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행복한 공동주택을 만들기 위한 ‘전주시 공동주택 상생문화 선언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시와 시의회, 전주시 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가 공동주택 관리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노동 인권 및 노동 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했다.

이 자리에서 우범기 전주시장과 신유정 전주시의원, 김한섭 전주시 공동주택 경비원 대표, 김경익 전주시 공동주택 관리직원 대표, 온균희 전주시 공동주택 입주자 대표, 이강우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전주완산지부장, 강선오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전주덕진지부장은 ‘관리노동자와 입주자가 행복한 아파트를 위한 전주시 공동주택 상생 문화 선언문’을 함께 서명했다.

상생 선언문에는 입주민과 관리노동자가 행복한 아파트 조성을 위해 각 주체가 서로 노력하고, 시는 공동주택의 발전을 위한 예산확보 등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이번 행사에 참여한 전주지역 32개 공동주택 단지는 상생의 의미를 담은 공동주택 선언문을 별도로 단지 내에 비치해 협력과 소통의 의미를 입주민들과 공유키로 뜻을 모았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공동주택 입주민과 관리노동자는 서로 상생하며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여야 하는데, 간혹 폭언과 폭행, 갑질과 같은 사건 사고가 발생할 때면 매우 마음이 무겁다”면서 “이번 상생문화 선언식이 서로를 이해하고 보듬어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고, 앞으로 교육 및 예산지원 등 공동주택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공동주택 관리노동자의 인권 및 쾌적한 업무환경 조성을 위해 신유정 전주시의원의 발의로 관련 조례를 전면 개정했으며, 비정규직노동자 지원센터를 통해 취약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교육 및 노무 활동 지원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삼척시, 2025년 세계 자살유족의 날 기념 캠페인 '마음정거장' 진행

[뉴스스텝] 삼척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자살 유족의 건강한 애도를 돕고 자살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2025년 세계 자살유족의 날’ 기념 '마음정거장' 캠페인을 진행한다.‘세계 자살유족의 날’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가족으로 상처받은 유족들이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치유와 위로를 얻고 건강한 애도를 실천하기 위해 제정된 날로, 1999년부터 매년 미국의 추수감사절 전주 토요일에 지정되어 전

옥천군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신간 전자책 대출해 보세요!

[뉴스스텝] 옥천군 가양도서관은 군민의 독서 편의 증진과 비대면 독서환경 지원을 위해 신간 소장형 전자책 162종을 새로 구입해 대출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번 추가 도입으로 옥천군 공공도서관이 보유한 전자책 총량은 모두 9,337종에 이르게 됐다.이번 신간 중에 눈에 띄는 도서는 김난도, '트렌드코리아 2026', 미래의 창, 2025, 멜 로빈스, '렛뎀이론', 비즈니스북스,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청년미래센터, 고립은둔청년 대상 사회성 워크숍 열어

[뉴스스텝]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청년미래센터는 고립은둔청년 대상 사회성 워크숍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청년들이 일상 회복을 지원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전문 강사가 맡아 진행하며 고립은둔청년 13명이 참여한다. 10월 말~11월 말 매주 금요일 1회, 총 5회에 걸쳐 열린다. 인천시청년미래센터에 등록돼 있는 고립은둔청년 중 참여 청년을 모집했다. 첫 시간은 ‘인사이드 아웃’을 주제로 불안을 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