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2025년 공간정보·지적 분야 연구과제 발표대회‘장려상’ 수상, 2년 연속‘쾌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3 10:50:38
  • -
  • +
  • 인쇄
시민들이 공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적제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
▲ 군산시, 2025년 공간정보·지적 분야 연구과제 발표대회‘장려상’ 수상, 2년 연속‘쾌거’

[뉴스스텝] 군산시가 ‘2025년 공간정보·지적분야 연구과제 발표대회’에서 2년 연속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지난 19일에서 20일까지 부안 변산에서 개최된 대회는 전북특별자치도 주최로 공간정보·지적분야 발전과 공무원들의 실무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매년 개최되는 행사이다.

이 행사는 급변하는 공간정보 기술 환경 속에서 정책적 대응력을 높이고, 지적 중심의 행정체계를 넘어 AI·메타버스·데이터 기반의 융합적 접근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대회에 앞서 도내 공무원, 관련 대학, LX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측량업체 등을 대상으로 연구과제를 공모했으며, 총 29편 중 8편이 선정되는 치열한 경쟁 끝에 이날 본선 발표가 진행됐다.

이날 발표된 8편은 ▲지번 연계 정보 등록·관리 체계 제도화 방안 ▲국·공유재산 지목 불일치 해소 방안 ▲인허가 준공에 의한 지목변경 신청 의무화를 통한 토지 지목 현실화 방안 ▲AI 기반 토지 합병조건 확인 시스템 구축 ▲LX 플랫폼 활용 국가기반시설 현황 분석 ▲메타버스 기반 가상 국토관리 및 지적 재조사 ▲지방소멸 위기 대응 디지털플랫폼 서비스 제공 ▲정주 여건 개선 위한 온라인 감성분석 모델 개발 등이다.

이 중 김창현 주무관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국·공유재산 지목 불일치 문제와 해결방안’을 주제로 하여, 국·공유지의 실제 토지 이용 상황과 지적공부상 토지의 지목이 불일치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이 발표는 국·공유재산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적행정의 신뢰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장려상을 받았다. 이로써 군산시는 전년도 이종원 주무관의 ‘효율적 지적기준점 체계 관리 방안’ 최우수상에 이어 올해 장려상 수상까지 2년 연속 수상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군산시 관계자는 “바쁜 업무 중에도 공간정보 및 지적발전을 위해 연구과제를 준비하고 발표한 직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라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시민들이 공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적제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삼척시, 2025년 세계 자살유족의 날 기념 캠페인 '마음정거장' 진행

[뉴스스텝] 삼척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자살 유족의 건강한 애도를 돕고 자살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2025년 세계 자살유족의 날’ 기념 '마음정거장' 캠페인을 진행한다.‘세계 자살유족의 날’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가족으로 상처받은 유족들이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치유와 위로를 얻고 건강한 애도를 실천하기 위해 제정된 날로, 1999년부터 매년 미국의 추수감사절 전주 토요일에 지정되어 전

옥천군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신간 전자책 대출해 보세요!

[뉴스스텝] 옥천군 가양도서관은 군민의 독서 편의 증진과 비대면 독서환경 지원을 위해 신간 소장형 전자책 162종을 새로 구입해 대출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번 추가 도입으로 옥천군 공공도서관이 보유한 전자책 총량은 모두 9,337종에 이르게 됐다.이번 신간 중에 눈에 띄는 도서는 김난도, '트렌드코리아 2026', 미래의 창, 2025, 멜 로빈스, '렛뎀이론', 비즈니스북스,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청년미래센터, 고립은둔청년 대상 사회성 워크숍 열어

[뉴스스텝]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청년미래센터는 고립은둔청년 대상 사회성 워크숍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청년들이 일상 회복을 지원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전문 강사가 맡아 진행하며 고립은둔청년 13명이 참여한다. 10월 말~11월 말 매주 금요일 1회, 총 5회에 걸쳐 열린다. 인천시청년미래센터에 등록돼 있는 고립은둔청년 중 참여 청년을 모집했다. 첫 시간은 ‘인사이드 아웃’을 주제로 불안을 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