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데보라' 김예지, 보면 볼수록 빠져드는 매력 끝판왕! ‘대체불가 존재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7 09:15:41
  • -
  • +
  • 인쇄
▲ [사진 제공: ENA 수목드라마 '보라! 데보라']

[뉴스스텝] 배우 김예지가 ‘보라! 데보라’에서 활력소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다.

김예지는 지난 4월 12일(수) 첫 방송된 ENA 수목드라마 ‘보라! 데보라’에서 MZ 세대를 대표하는 솔직 당당한 매력의 연보미 역으로 열연 중이다. 보면 볼수록 빠져드는 연보미 캐릭터로 비타민 같은 존재감을 뽐내고 있는 ‘보라! 데보라’ 속 김예지의 매력 포인트를 짚어봤다.

#. 김예지=연보미, 사랑스러움 그 자체!

김예지가 연기하는 연보미는 언니 연보라(유인나 분)의 옷도 돈도 자기 것처럼 입고 쓰는 등 현실 동생 모먼트로 웃음과 공감을 동시에 선사하고 있다. 특히 보미가 다이어트를 하는 보라 앞에서 약을 올리며 라면을 먹는 장면은 극적 재미를 한껏 끌어올렸다.

김예지는 내 주위에 있을 것만 같은 동생의 모습을 능청스럽게 표현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게다가 통통 튀는 말투와 거침없는 행동을 하는 연보미 캐릭터를 얄밉지만 밉지 않게 승화시키는 등 사랑스러움을 배가시키고 있다.

#. 연보미X양진호 커플 기대되는 연애 스토리

연보미는 찌질하면서도 운명을 믿는 남자 양진호(구준회 분)와 본격 연애를 시작했다. 그녀는 모태솔로 남자친구에게 거침없이 다가가는가 하면, 연애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러블리한 직진녀 면모를 뽐내고 있다.

두 사람의 점점 달아오르는 연애 스토리가 궁금해지는 가운데, 어디로 튈지 모르는 개성을 지닌 연보미가 그려낼 20대 청춘 연애를 지켜보게 만든다. 실제로도 20대인 배우 김예지가 캐릭터와 높은 싱크로율을 보이고 있는 만큼, 그녀가 표현해낼 거침없는 MZ식 연애 스토리에 기대가 모인다.

#. 연보미, 이 구역의 케미 요정! 존재감 각인

연보미는 언니 연보라를 비롯해 이유정(박소진 분), 양진호 등 누구와 붙어도 환상의 케미를 자랑한다. 드라마 속 케미 요정 역할을 톡톡히 하는 김예지는 극에 활력을 더하며 존재감을 제대로 각인시키고 있다.

매 장면 눈길 끄는 신스틸러로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김예지의 눈부신 활약에 이목이 집중된다.

유쾌함과 진지함을 넘나드는 다채로운 매력의 소유자 김예지가 선보일 ENA 수목드라마 ‘보라! 데보라’는 11회는 오늘(17일) 밤 9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