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의회 도시재생플러스연구회, 도시재생 거점시설 우수사례 벤치마킹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9 18:00:07
  • -
  • +
  • 인쇄
전국 도시재생 모범사례로 꼽히는 전남 순천·여수시 일원 방문
▲ 남구의회 도시재생플러스연구회,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 모범사례 벤치마킹

[뉴스스텝] 울산 남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도시재생플러스연구회는 28~29일 양일간 도시재생사업 완료 지역의 거점시설 운영 활성화 사례 및 사후관리 정책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위해 전남 순천시와 여수시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연구회가 추진하고 있는 남구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방안 연구와 관련해 국내 모범사례를 조사하고 실효성 있는 지역 사후관리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회 소속 이정훈(대표의원), 박인서, 이소영, 최덕종 의원을 비롯해 용역사 관계자 등이 참여했으며, 전국적인 도시재생 모범사례로 꼽히는 전남 순천시 저전동과 여수 문수동 도시재생사업 완료 현장을 찾아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운영 현황과 효과성을 면밀히 살폈다.

첫날은 2022년 완료된 순천시 저전동 도시재생사업 현장을 방문해 비타민 저전골 마을관리협동조합 이강철 사무국장으로부터 마을조합 설립 과정과 시설 운영에 대한 강의를 듣고, 마을 탐방 시간을 가졌다.

순천시 저전동은 한때 신도시 개발로 쇠퇴했던 지역이었으나 2018~2022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학교 유휴건물을 활용한 복합커뮤니티공간 ‘비타민센터’, 공폐가를 활용한 청년임대주택 ‘새로와’등 10곳 이상의 거점시설을 조성한 후 일대 상권 매출 8%, 상권 유동 인구가 103% 증가하는 등 활기를 되찾으며 호응을 얻고 있다.

둘째 날에는 2023년 완료된 여수시 문수동 도시재생사업 현장을 방문해 여수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김학섭 사무국장, 서연희 사후관리팀장, 문수지구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황지순 이사장으로부터 케어안심주택, 문수카페, 마을주차장 등 시설 운영 현황과 사후관리 정책을 청취한 뒤 실질적인 접목 가능성을 검토했다.

여수시 문수동은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주택 2개소를 리모델링해 만든 케어안심주택 ‘포근휴’, 주민들이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운영하는 ‘문수카페’ 등 주민주도의 도시재생 거점시설 활용 우수사례들로 주목받고 있다.

이정훈 대표의원은 “도시재생사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주민주도의 마을관리협동조합이 마을 시설을 운영하고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사후관리팀을 조직해 지원 시스템을 마련한 점이 인상 깊었다”며 “이번 벤치마킹 결과를 분석해 남구 맞춤형 사후관리 정책을 마련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예산군농업기술센터, 과수화상병 4차 정기예찰 추진

[뉴스스텝] 예산군농업기술센터는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관내 사과·배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및 과수가지검은마름병 4차 정기예찰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과수화상병은 세균에 의해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꽃, 잎, 열매, 가지 등이 불에 탄 듯한 증상을 보이다가 고사하는 병으로 치료 방법이 없어 감염 시 과원 전체를 폐원해야 할 수도 있는 국가 관리 검역병이다.군은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병원균이

충북, 체류 외국인 8만 명 넘어서

[뉴스스텝]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체류 외국인 수가 8만 명을 넘어섰다. 도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기준 충북의 체류 외국인은 80,416명으로 전체 인구(1,672,847명)의 4.81%를 차지했다. 전국에서 충남(6.25%), 경기(5.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는 보은군(31,583명)과 옥천군(50,109명)의 인구를 합한 약 8만 1천 명에 맞먹는 규모로, 외국인이 이미 중소

당진시, 2025년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뉴스스텝] 당진시가 상반기 토지이동이 완료된 3,143필지의 2025년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10월 30일 결정·공시하고, 11월 28일까지 30일간 이의신청을 접수한다.29일 당진시에 따르면, 결정·공시된 개별공시지가는 감정평가사의 검증과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자의 열람 및 의견 청취 후 지난 22일 당진시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개별공시지가는 당진시청 토지관리과에 방문 또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