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에 맞춰 국제교류활동 본격 정상화 추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0 15:03:31
  • -
  • +
  • 인쇄
자매·우호도시간 교류 내실화와 교류지역·활동 다변화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제주특별자치도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중심으로 이뤄진 국제교류 활동을 단계적 일상회복에 맞춰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고자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 국제교류 시행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올해 3개 추진과제인 국제교류 총괄 조정지원 기능강화 자매우호도시 간 교류 운영 내실화 교류활동 다변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중심으로 사이버 국제교류도시관 구축 등 17개 사업을 진행해 교류활동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1월부터 도 국제교류지원 자문위원회, 시도지사협의회, 한-아랍 소사이어티 재단, 한-아세안센터 등 국제교류 유관기관과 사전협의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3월 이후부터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국제교류 활동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국제교류 활동 내실화와 대상지역 다변화를 추진해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우선 기존 자매·우호도시들과 결연 연도별 기념행사 등을 함께 여는 것을 비롯해 중국, 일본, 영어, 기타 언어권 별로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활발히 교류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올해는 한중수교 30주년으로 중국의 자매·우호·실무교류도시들과 친선주간행사를 운영해 중국 지방정부와 우호를 다지는 계기로 삼는다.

또한 가칭 교류도시 청년포럼을 개최해 제주와 자매·우호도시 청년들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청년기업가 간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여기에 한-아랍 소사이어티 재단, 해외 한국공관과의 협업을 통해 아랍국가 지방정부와 신규 교류를 추진하고 제주국제평화센터 내에 설치될 ‘제주-아세안 홀’의 개관 및 운영을 계기로 아세안지역 도시들과의 교류도 확대해 나간다.

국제기구 시티넷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유럽지역 도시와 일 대 일 교류도 추진해 인접국가인 중국과 일본에 편중돼온 교류도시를 다변화한다는 전략이다.

도 홈페이지 내에 ‘사이버 국제교류 도시관’을 구축해 도민들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내 유관기관 및 단체과의 협업을 통해 ‘국제교류 플랫폼’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고춘화 제주도 문화체육대외협력국장은 “올해는 단계적으로 국제교류 활동을 정상화해 도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일에 초점을 맞췄다”며 “특히 자매·우호도시 간 교류를 내실화하고 교류지역 다변화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따뜻한 반찬으로 이웃의 마음을 가득 채우는 안성시 안성3동 새마을부녀회

[뉴스스텝] 안성시 안성3동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이 정성껏 만든 반찬을 손수 포장하며 따뜻한 마음을 담았다.지난 8일 실시한 반찬 나눔 행사에 부녀회원 14명이 참여해 직접 조리한 깍두기 김치, 두부조림, 가지무침 등 다양한 반찬을 마련하여 독거 어르신과 저소득 가정 50여 가구에 전달했다.새마을부녀회는 매달 정기적으로 반찬 나눔 봉사활동을 이어가며 정성껏 만든 따뜻한 반찬으로 이웃에게 마음을 전하며 지역사

울진군 철도 타고 책 향기 가득한 울진으로 9월,‘책과 함께하는 가을’펼쳐진다

[뉴스스텝] 경북 울진군은‘독서의 달’인 9월을 맞아 울진군민과 관광객 모두가 책과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관내 도서관 10곳에서 풍성한 독서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북울진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울진도서관 울진남부도서관 등 3개 공공도서관과 함께 흥부 울진 근남 매화 기성 평해 온정 작은도서관 등 총 7개의 작은도서관에서 각 일정에 맞게 진행된다. 울진군은 이번 독서문화 행사는 아이부터 어르

경남투자경제진흥원, 도내 청년과 함께 기업 탐방

[뉴스스텝] 경남투자경제진흥원은 12일 ‘제3차 도내 기업탐방 프로그램’을 통해 도내 거주 청년 30명이 경남의 대표 첨단 제조 기업, 두산에너빌리티(주)와 훌루테크(주)를 탐방했다고 밝혔다.먼저 훌루테크(주)를 방문해 기업 소개와 함께 주요 생산 현장을 둘러본 후 인사담당자와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청년들은 실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유압 기계 제조 과정을 직접 눈으로 보며 기업이 요구하는 역량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