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 발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6-30 17:05:55
  • -
  • +
  • 인쇄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 14.3%로 전년보다 1.6%p 상승
▲ 교육부
[뉴스스텝]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6월 30일 ‘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6월 공시를 통해 학생 선발, 산학 협력, 강사 강의료, 원격강좌 등의 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31,906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14.3%로 2021년 12.7%보다 1.6%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19.3%로 사립대학보다 6.5%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17.0%로 수도권대학보다 6.5%p 높았다.

2022년 일반 및 교육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73.9%, 특수목적고 4.3%, 특성화고 6.5%, 자율고 9.7%, 기타 5.6%이다.

국공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77.6%로 사립대학보다 4.9%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6.5%로 수도권대학보다 6.3%p 높았다.

2022학년도 대입전형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은 8,911명이며 전임 입학사정관 1,197명 중 정규직 비율은 70.8%로 2021년 68.1%보다 2.7%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전임사정관 중 정규직 비율은 81.4%로 사립대학보다 14.8%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5.1%로 수도권대학보다 8.5%p 높았다.

2022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수는 8,299명, 서류평가 건수는 1,408,063건이며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69.7건으로 2021년 171.6건보다 1.1%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79.8건으로 국공립대학보다 34.2건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231.0건으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16.4건 높았다.

산학협력 현황 2021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1,722개로 2020년보다 13.9% 증가했다.

2021년 창업강좌 수는 9,001개로 2020년보다 2.9% 증가했고 창업강좌 이수자 수는 304,920명으로 2020년보다 0.5% 증가했다.

2021년 기술이전 실적은 5,813건으로 2020년보다 15.0% 증가했고 기술이전 수입료는 1,086억원으로 2020년보다 24.0% 증가했다.

2021년 기술이전 건당 수입료는 1,869만원으로 2020년보다 7.9% 증가했다.

2022년 계약학과 수는 230개로 2021년보다 1.7% 감소했고 학생 수는 8,032명으로 2021년보다 0.6%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58개로 2021년보다 9.4% 증가했고 학생 수는 3,018명으로 2021년보다 19.0% 증가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172개로 2021년보다 5.0% 감소했고 학생 수는 5,014명으로 2021년보다 8.0% 감소했다.

2021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333개로 2020년보다 4.9% 감소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 수는 12,444명으로 2020년보다 9.5% 감소했다.

2022년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67.4천 원으로 2021년보다 0.4천 원 상승했다.

국공립대학의 강사 강의료 평균은 89.4천 원으로 전년보다 1.2천 원 상승했으며 사립대학은 56.4천 원으로 전년과 같았다.

2021년 원격강좌 수는 170,882개로 2020년 대비 49.9% 감소했으며 수강인원은 2021년 771.3만명으로 2020년 대비 36.7%로 감소했다.

2022년 전문대학 전체 입학생 140,363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3.2%로 2021년3.5%보다 0.3%p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3.4%로 사립대학보다 0.2%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3.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0.9%p 높았다.

2022년 전문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59.0%, 특수목적고 1.7%, 특성화고 23.0%, 자율고 4.7%, 기타 11.6%이다.

사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59.2%로 국공립대학보다 5.6%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67.6%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5.3%p 높았다.

2021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262개로 2020년보다 1.5% 감소했다.

2021년 창업강좌 수는 5,178개로 2020년보다 12.1% 감소했고 2021년 이수자 수는 137,148명으로 2020년보다 11.8% 감소했다.

2021년 기술이전 실적은 69건으로 2020년보다 9.2% 감소했으나, 기술이전 수입료는 163백만원으로 2020년보다 0.6% 증가했다.

2022년 계약학과 수는 114개로 2021년보다 14.0% 증가했고 학생 수는 3,193명으로 2021년보다 10.3%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28개로 2021년보다 64.7% 증가했으나, 학생 수는 522명으로 2021년보다 9.8% 감소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86개로 2021년보다 3.6% 증가했고 학생 수는 2,671명으로 2021년보다 15.3% 증가했다.

2021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677개로 2020년보다 3.4% 감소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 수는 20,742명으로 2020년보다 12.0% 감소했다.

2022년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32.8천 원으로 2021년보다 0.3천 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 강사 강의료 평균은 51.5천 원으로 전년보다 1.2천 원 높았으며 사립대학은 31.8천 원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2021년 원격강좌 수는 32,857개로 2020년 대비 64.8% 감소했으며 수강인원은 2021년 148.7만명으로 2020년 대비 57.1%로 대폭 감소했다.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는 6월 30일 06시, 대학알리미 누리집에 공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해시의회, 2025년 추석맞이 사회복지시설 위문

[뉴스스텝] 동해시의회는 10월 1일,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을 방문해 위문 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위문은 동해시의회 의원들과 관계자들이 직접 사회복지시설을 찾아 입소자들과 따뜻한 시간을 보내고 위로의 말을 전했다. 또한, 위문품 전달을 통해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 민귀희 의장은 “추석은 나눔과 배려의 의미가 깊은 명절이다.

원주시, 10월 확대간부회의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아이디어’ 공유

[뉴스스텝] 원주시는 10월 1일 오후 5시, 시청 10층 대회의실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개최하고, 9월 세 차례 간부회의를 통해 제시된 각 부서의 의견을 종합한 ‘원주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아이디어’를 공유했다.이번 회의는 원도심의 주차 및 보행환경 개선, 문화·관광 콘텐츠 발굴, 청년 창업 지원, 숙박·야간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부서별 제안 사항을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됐다.원주시는 앞으로도

포항시,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특별상 수상! 전국적 모범사례 인정

[뉴스스텝] 포항시가 고용노동부 주관 ‘2025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특별상(고용노동부장관상)을 수상하며 신산업 중심의 고용 전략과 맞춤형 일자리 정책의 성과를 전국적으로 인정받았다.지난 30일 청주 오스코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포항시는 전국 41개 대도시급 지자체가 경쟁하는 ‘다군’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는 지난해 경상북도 주관 시·군 일자리창출 평가에서 우수상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