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 제1회 삼수 매봉산 바람개비축제 개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05 20:00:10
  • -
  • +
  • 인쇄
▲ 태백시, 제1회 삼수 매봉산 바람개비축제 개막

[뉴스스텝] 태백시 삼수동의 첫 마을축제인 ‘제1회 삼수 매봉산 바람개비 축제’가 5일 오후 4시 바람의 언덕 밑자락(태백시 창죽동 9-201)에서 개막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이상호 태백시장, 고재창 시의장, 이한영 도의원, 이경숙 부의장, 최미영 시의원, 정연태 시의원, 홍지영 시의원, 김재석 태백소방서장, 박은숙 시흥3동장, 최미례 시흥3동 주민자치부회장, 각급 기관사회단체장, 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개막식은 품바공연, 벨리댄스, 나팔박 등 식전 공연을 시작으로 양건모 축제위원장의 개막선언, 이상호 태백시장 환영사와 고재창 태백시의회 의장의 축사에 이어 축하공연, 경품추첨, 가수 이우리, 홍혜리, 구재영의 축하무대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삼수동 축제위원회 양건모 위원장은 “올해 첫 개최되는 제1회 삼수 매봉산 바람개비 축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축제 기간 동안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호 태백시장은 “이번 축제의 개최 준비를 위해 남다른 열정으로 수고해주신 양건모 삼수동 축제위원장님을 포함한 삼수동 축제위원님들, 지역주민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국 제일의 시원하고 맑은 공기, 하늘과 맞닿은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는 매봉산 밑자락에서 펼쳐지는 바람개비 축제에서 그동안 코로나19로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안전하게 마음껏 즐기며, 좋은 추억도 많이 쌓아가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제1회 삼수 매봉산 바람개비축제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바람개비 노래왕 선발대회’, ‘춤신춤왕 선발대회’, ‘아마추어 사진공모전’, ‘자작나무숲길 걷기 트레킹(보물찾기)’ 등 관광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광객을 맞는다.

또한 오는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경품 추첨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TV, 공기청정기, 에어프라이어 등 200여 종류의 다양한 경품이 준비되어 있다.

또, 축제기간동안 부대행사로 바람개비, 바람개비피리 만들기, 하트가방볼, 레진 액세서리, 디퓨저, 슈링클스 만들기, 미니로켓만들기, 동물목걸이, 메타쉐콰이어 팔찌만들기, 워터슬라이드, 특산품판매코너 등이 있다.

축제와 관련된 문의는 삼수동축제위원회으로 연락하면 자세한 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아산시, 신정호정원, 야간경관 조성사업으로 새로워진다

[뉴스스텝] 아산시가 충청남도 제1호 지방정원인 신정호정원을 ‘빛의 정원’으로 새롭게 탈바꿈한다.시는 지난 14일 2026년 9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신정호정원 야간경관 조성사업을 위한 디자인 및 실시설계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이번 사업은 신정호 일원(아산시 신정로 616) 약 2.3km 구역에 야간조명 연출을 도입해 밤에도 머무는 체류형 정원으로 조성하는 프로젝트다.‘아산의 수호자, 빛으로 깨어

영동군, 청소년 문화탐방 프로그램 ‘노트르담 드 파리’ 운영

[뉴스스텝] 충북 영동군청소년수련시설연합회는 지난 15일,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감수성과 창의력을 함양하기 위한 2025년 청소년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관내 청소년 38명과 인솔자 2명을 포함한 총 40명이 참여했다.참가 청소년들은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되는 세계적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내한공연을 관람했으며, 공연 해설자료 제공과 공동체 예절 교육 등 다

대전시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뉴스스텝] 대전시는 17일 교통사망사고 없는 안전도시 실현을 목표로 시청 대강당에서‘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교통 관련 기관․단체,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고, 교통안전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 사망사고 없는 안전한 도시 구현을 다짐했다. 대전의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0월까지 53명이 사망했다. 전년 대비 43% 증가한 추세로 시는 안전불감증과 운전자 인식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