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문화예술진흥원, 서예가 현병찬 초청전 ‘춤추는 먹의 향연(饗宴)’ 전시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5 16:35:43
  • -
  • +
  • 인쇄
제주문화예술진흥원, 3월 15일~27일까지 문예회관 1ㆍ2ㆍ3전시실에서 운영
▲ 현병찬 초청전 ‘춤추는 먹의 饗宴’

[뉴스스텝] 제주문화예술진흥원(원장 이희진)은 3월 15일부터 27일까지 제주문예회관 제1ㆍ2ㆍ3전시실에서 서예가 한곬 현병찬 초청전 ‘춤추는 먹의 향연(饗宴)’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전통 서예와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룬 현병찬 선생의 예술 세계를 탐색하며, 서예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자리이다.

한곬 현병찬 선생은 제주 저지문화지구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전통 서예를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더한 독창적인 작품으로 주목받아 왔다.

소암 현중화와 해정 박태준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44년간 교직에 봉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대상, 외솔상, 대한민국 미술인상 원로작가상, 세종문화상(대통령상), 제주도 문화상 등을 수상하며 서예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다양한 서예전을 주관하고 출품했다.

특히 2024년에는 작품 1,088점 및 건축물(먹글이 있는 집), 도서 4,816점 등을 조건 없이 제주도에 기부해 지역 문화예술 발전과 서예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105점의 대표작이 공개되며, 묵향(墨香)이 피어나는 듯한 선의 움직임과 강렬한 에너지가 어우러진 작품 세계를 선보인다.

제1전시실에서는 대표작 ‘먹의 향연(饗宴)’과 작업 영상을 통해 서예 예술이 탄생하는 순간의 긴장감과 감동을 경험할 수 있다.

제2전시실에서는 가로 910cm, 세로 900cm에 달하는 대작 ‘밤하늘’이 전시된다. 이 작품은 끝없이 펼쳐진 밤하늘 위로 먹의 흐름이 춤추듯 퍼지는 웅장하면서도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제3전시실에서는 ‘곶자왈’을 비롯한 다양한 소품 작품이 전시돼 서예의 섬세한 미학을 선사한다. 각 전시 공간은 서예의 다양한 매력을 담아 관람객들에게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서예 예술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문화예술진흥원 전시기획자는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서예가 지닌 깊은 정신성과 예술적 가능성을 조명하는 자리”라며, “서예의 울림과 표현의 무한한 세계를 경험하는 특별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정인화 광양시장, 국회 재차 방문해 국고예산 및 현안사업 건의

[뉴스스텝] 정인화 광양시장이 지난 11월 11일에 이어 18일에도 재차 국회를 방문해 내년도 국고 예산사업과 주요 현안사업을 건의했다.이날 정 시장은 한병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박지원 의원, 권향엽 지역구 국회의원, 김영환 의원,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방문순) 등을 만나 광양시 현안사업 및 2026년도 정부예산안 미반영 사업들을 건의했다.주요 건의 사업은 광양시 보훈회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국주영은 의원,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방향 연구회 개최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방향 연구회(대표 국주영은 의원)는 19일 도의회 세미나실에서 ‘전북형 노인 통합돌봄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이번 토론회는 2026년 3월 이후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북자치도 지역 특성과 시민 돌봄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노인 통합돌봄 모형을 개발하기 위

세종사랑의열매, ‘2025 세종시 나눔실천 학생 교육감 표창장 전달식’ 개최

[뉴스스텝] 세종사랑의열매는 19일 오후 4시 세종사랑의열매 전달식장에서 세종시교육청과 함께 ‘2025 세종시 나눔실천 학생 교육감 표창장 전달식’을 열고, 지역사회 나눔문화 확산에 기여한 학생 3명에게 봉사상 교육감 표창장을 수여했다.이번 표창은 부모가 자녀의 이름으로 정기기부를 시작했지만, 학생 스스로 용돈을 모아 기부하는 등 자녀 세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기부를 실천하며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한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