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글로벌ESG협회-월드비전, ESG 기반 지속가능발전 업무협약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1 14:35:52
  • -
  • +
  • 인쇄
“1인 1평 갯벌 소유 지구 살리는 프로젝트 함께해요!”
▲ 부안군-글로벌ESG협회-월드비전, ESG 기반 지속가능발전 업무협약

[뉴스스텝] 부안군과 (사)글로벌ESG협회, 월드비전은 11일 부안군청에서 ESG 기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권익현 부안군수와 황인경 글로벌ESG협회장, 김성태 월드비전 ESG사회공헌본부장을 비롯해 각 기관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세 기관은 이번 협약에서 갯벌의 생태적????경제적 가치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공감을 모색하고자 1인 1평 갯벌 지키기 사업인 ‘한평生 부안갯벌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하고 ESG 관련 학문연구 및 정책연구 활성화 협력 등을 약속했다.

맹그로브 숲, 염습지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블루카본은 탄소 흡수 속도가 육상생태계보다 최대 50배 빠르고 수천 년 동안 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갯벌은 탄소 흡수력이 뛰어나 블루카본의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고 있으며 블루카본으로 인정된다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안군은 전국의 80% 이상인 약 133만평의 사유지 임야 갯벌을 보유하고 있으며 줄포면????보안면 일대의 갯벌은 독특한 지리학적 특징과 희귀 동식물 서식지로서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0년 람사르습지로 지정됐다.

한평生 부안갯벌 프로젝트는 1인 1평 갯벌을 소유해 사유지 갯벌의 난개발을 저지하고 탄소 흡수원으로서 갯벌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홍보하고자 추진하는 행동 캠페인이다.

또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줄포만 갯벌에 함초, 칠면초 같은 염생식물을 식재하는 부안 갯벌 가꾸기 캠페인도 진행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인구감소, 지방소멸, 기후변화라는 3대 위기를 헤쳐 나갈 지역 활력 사업으로 ESG를 중점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으로 다양한 주체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상생협력의 효과를 이어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안군은 지난 2월 기업(Enterprise)????소셜벤처(Social venture)????공공기관(Government)????비정부기구(NGO)가 협력하는 ESG+N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4대 전략 13개 핵심과제를 담은 ESG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해 미래 100년 지속가능한 부안 비전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아산시, 신정호정원, 야간경관 조성사업으로 새로워진다

[뉴스스텝] 아산시가 충청남도 제1호 지방정원인 신정호정원을 ‘빛의 정원’으로 새롭게 탈바꿈한다.시는 지난 14일 2026년 9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신정호정원 야간경관 조성사업을 위한 디자인 및 실시설계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이번 사업은 신정호 일원(아산시 신정로 616) 약 2.3km 구역에 야간조명 연출을 도입해 밤에도 머무는 체류형 정원으로 조성하는 프로젝트다.‘아산의 수호자, 빛으로 깨어

영동군, 청소년 문화탐방 프로그램 ‘노트르담 드 파리’ 운영

[뉴스스텝] 충북 영동군청소년수련시설연합회는 지난 15일,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감수성과 창의력을 함양하기 위한 2025년 청소년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관내 청소년 38명과 인솔자 2명을 포함한 총 40명이 참여했다.참가 청소년들은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되는 세계적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내한공연을 관람했으며, 공연 해설자료 제공과 공동체 예절 교육 등 다

대전시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뉴스스텝] 대전시는 17일 교통사망사고 없는 안전도시 실현을 목표로 시청 대강당에서‘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교통 관련 기관․단체,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고, 교통안전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 사망사고 없는 안전한 도시 구현을 다짐했다. 대전의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0월까지 53명이 사망했다. 전년 대비 43% 증가한 추세로 시는 안전불감증과 운전자 인식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