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용보증재단, 전국 최초 소상공인 사업체패널 구축으로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소상공인 실태 분석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2 14:30:05
  • -
  • +
  • 인쇄
2022년 서울시 25개 자치구 총 2,577개 사업체패널 구축 및 1차 패널 조사 완료
▲ 서울시청 전경

[뉴스스텝] 서울신용보증재단은 변화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소상공인의 동태적 특성과 현안에 따른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최초로 ‘소상공인 사업체패널’을 구축하여 1차 패널 조사를 완료했다.

‘소상공인 사업체패널’은 서울시 소재 소상공인 사업체 중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분포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패널(조사대상)로, 동일한 패널에 매년 동일한 문항을 반복하여 주기적(매년 1회)으로 패널 조사를 실시한다. 종단적 조사를 통해 사업체 패널의 동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면밀한 지원정책 및 맞춤형 사업을 발굴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재단은 2022년 상반기(2~5월) 서울시 외식업 종사 소상공인 사업체 323개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하반기(10~12월)에 2,577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1차 사업체패널 조사를 완료했다.

소상공인 사업체패널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별로 약 80~120개 표본을 할당하여 구성했다.

소상공인 사업체패널 조사는 ①사업체 일반현황, ②창업준비, ③경영현황, ④고용현황, ⑤노후대비, ⑥경기동향(실적 및 전망), ⑦삶의 질(업무피로도, 직업만족도)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설계됐다.

(참여업체) 서울시 소상공인 사업체패널 조사에 참여한 업체의 97.9%가 ‘개인사업자’였으며, 2.1%는 ‘법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도매 및 소매업(45.6%), 음식점업(26.4%),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1.8%),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8.7%), 교육 서비스업(7.4%)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형태) 신규창업(63.6%)이 절반 이상이었고, 인수창업(18.7%), 재창업(16.1%), 가업승계(1.6%)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비용) 사업체를 창업하는데 소요된 총 창업비용은 평균 1억 176만 원으로, 이 중 ‘본인부담금’이 6,960만 원(6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대출금’은 2,885만 원(28.4%), ‘정책지원금’은 332만 원(3.3%)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매출액 및 영업이익 변화) 코로나19 및 지역상권 쇠퇴 등의 영향으로, ‘19년 이후 서울시 소상공인의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감소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21년의 평균 매출액은 19,515만 원으로 ‘20년 매출액 18,865만 원보다 3.4% 증가하여 팬데믹 이전 매출액(’19년도 평균 매출액 21,035만 원)의 93%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21년의 평균 영업비용은 16,392만 원으로 ’20년 영업비용 15,699만 원 대비 4.4% 증가하여,

오히려 ‘21년의 평균 순영업이익 3,123만 원이 ‘20년 순영업이익 3,166만 원 보다 1.4%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 소상공인의 월평균 소득은 266만 원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소득의 분포를 살펴보면 ‘300만 원~500만 원 미만’의 비중이 28.1%로 가장 높고, ‘100만 원~200만 원 미만’의 비중이 20.3%’, ‘200만 원~300만 원 미만’이 20.0%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사자 인원) 현 사업체의 상시 종사자 수는 1명(대표자 포함)이 40.7%로 가장 많고, ‘2명’ 29.2%, ‘3명’ 12.5% 순으로 나타나, 평균적으로 2.2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무시간) 종사자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31.1시간이고, 그 중 ‘40시간~50시간 미만’ 26%, ‘50시간 이상’ 18%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BSI로 살펴본 ‘23년 매출에 대한 전망은 66.9점으로, ’22년 매출실적 59.6점보다 높아 긍정적 변화를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사정) ‘23년 자금사정에 대한 전망은 65.2점으로 ’22년 53.6점보다 높아 자금사정이 나아질 것이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상황) ‘23년 비용상황에 대한 전망은 88.7점으로 ’22년 97.2점보다 낮아, 비용상황은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업무피로도) 업무를 하면서 느끼는 피로도는 평균 3.49(5점 척도)로, 대체적으로 소상공인의 업무피로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으로는 음식점업 종사자의 업무피로도가 3.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만족도) 소상공인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11(5점 척도)로, 긍정적(매우만족․만족) 응답의 비중이 33.3%로 조사됐다.

주철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소상공인의 경영현황과 영업실태, 삶의 질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사업체 패널조사가 매년 정기적으로 이루어져, 서울시 소상공인의 변화양상과 특성을 파악하여 맞춤형 정책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서울시 소상공인 사업체패널 2차 조사는 2,500개 패널을 유지하며, ‘23년 7월 1주부터 약 8주간 조사를 진행하여 ‘23년 12월에 분석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사천시 “수상 도로명주소”로 해상 안정성 한층 강화!

[뉴스스텝] 사천시는 2023년 시범 사업으로 전국 최초 도입한 '수상 도로명주소'의 가시성과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는 개선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사천시는 주소 정보가 곧 시민의 안전과 생명이 달린 핵심 정보임을 깊이 인식하고, 해상에서의 응급 상황 발생 시 정확한 위치 파악을 최우선 목표로 수상 도로명주소 시설물 가시성 개선이 진행됐다.이번 개선 작업은 바다 위 도로명주소의 정착 과정을

광주광역시의회, ‘지역산업위기 대응 체계 구축 조례’로 전국‘최우수상’수상

[뉴스스텝] 광주광역시의회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5년 지방의회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이로써 광주광역시의회는 2019년부터 7년 연속 수상이라는 전국 유일의 기록을 이어가며, 입법역량과 정책혁신을 동시에 인정받는 전국 최우수 의회의 위상을 굳건히 지켰다.이번 경진대회는 전국 광역‧기초 지방의회 중 우수한 입법 및 정책 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매년 개최하는 전국

경상북도의회 박승직 의원 경상북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 지적

[뉴스스텝]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승직 의원(국민의힘, 경주4)은 11월 19일(수)과 20일(목) 진행된 경상북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폐교 직전 학교에 대한 과도한 시설 투자 문제를 지적하며 통폐합 절차의 투명성을 주문하고, 직속기관 직원들의 출장 관리 부실에 대한 실태조사를 강력히 요구했다. 먼저 박승직 의원은 소규모학교 통폐합 추진 시 절차의 투명성 확보와 예산 낭비 방지를 강력하게 주문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