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섯 생일 맞은 마포서강도서관, 개관 기념 행사 풍성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9 08:55:15
  • -
  • +
  • 인쇄
‘돌봄, 세상을 유지하는 힘’주제로 한 16개 프로그램, 1월 17일부터 서강도서관 누리집서 접수
▲ 2024년 마포구 구립도서관 주요업무 공유회가 열려 올해 운영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뉴스스텝] 마포구 구립서강도서관이 개관 16주년을 맞아 ‘돌봄, 세상을 유지하는 힘’을 주제로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고 오는 24일부터 3월 말까지 운영한다.

서강도서관을 방문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전시, 이벤트부터 온라인 사전 신청으로 참여 가능한 인문학 강연과 어린이 인형극 등 총 16개의 프로그램이 서강도서관에서 진행된다.

서강도서관은 개관 16주년을 맞아 서강도서관이 설립된 2008년 당시의 독립출판물을 볼 수 있는 특별전시인 '‘있다’와 ‘있었다’의 사이'와 강연, 워크숍을 기획했다. 전시는 1월 24일부터 3월 말까지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강연과 워크숍은 4회차로 진행되며 활발히 활동 중인 독립출판인들(싱클레어, 헬로인디북스, 북다마스, 해해북스)을 초청해 독자와 만날 예정이다.

온라인 사전접수 프로그램으로는 ‘다산 정약용, 미래에 답하는 실학’ 인문학 강의가 첫 주자로 나서 지난 1월 17일 접수를 시작했다. 인기 드라마 ‘별순검’을 자문하고,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한 김호 교수와 함께 다산 정약용의 생각과 실학의 가치를 되새긴다. 2월 7일부터 2월 28일 매주 수요일 저녁 진행된다.

‘유기견 영남이’의 속마음을 들여다보는 그림책 인형극도 있다. 다른 생명을 돌보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유기견 영남이의 이야기를 이어서 그려 보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초등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월 15일 저녁 7시 진행되며, 신청은 2월 1일이다.

또한 1795년 정조의 화성원행을 기록한 의궤와 기록화 등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화제가 된 그림책'1795년, 정조의 행복한 행차'의 원화와 작가를 만나볼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이외에도 각 자료실에서는 대출 권수 확대 행운이 찾아오는 ‘사서를 이겨라!’ 이벤트와 서로서로 다정한 말을 나누는 ‘다정배틀’도 준비되어 있다.

프로그램별 자세한 사항과 온라인 사전 신청은 서강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관련 문의는 서강도서관 문화팀으로 전화 또는 방문하면 된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 활기찬 청소년기를 맞이한 서강도서관이 그동안 주민들에게 받은 사랑과 돌봄에 보답하기 위해 준비한 풍성한 행사에 구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 4일간 대장정 성황리 마무리

[뉴스스텝] ‘음성명작에서 피어난 6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금왕읍 금빛근린공원에서 열린 2025 음성명작페스티벌이 올해의 음성명작 대상 시상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음성군 통합농산물 축제인 음성명작페스티벌은 개막부터 축제가 끝나는 날까지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나흘 동안 25만여명이 다녀가 전년도 대비 78.6%의 방문객 증가를 기록하며,

‘춤으로 세계를 품다’ 천안흥타령춤축제에 89만명 방문…"세계적 경쟁력 확인"

[뉴스스텝] 춤으로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가 친환경 드론 라이트쇼를 끝으로 28일 폐막했다.올해 흥타령춤축제는 ‘All that Dance in Cheonan’이란 슬로건으로 24일부터 천안종합운동장과 천안시 일원에서 열렸다.천안시와 천안문화재단은 24일부터 닷새간 89만 4,000명의 국내외 방문객이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61개국 4,000여 명의 무용단과 방문

전남도, 정부 전산 장애 상황 속 도민 서비스 정상화 온힘

[뉴스스텝] 전라남도는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수기 처리, 신청기한 연장, 대체 창구 안내 등 방법을 통해 도민 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주민등록등·초본 등 제증명은 읍면동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입신고는 읍면동 수기 접수를 통해 일괄 소급 적용된다.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은 시스템 복구 시까지 불가함에 따라 과태료는 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