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춘추사, ‘셜록 홈즈’ 전집 세트 리커버 출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2 21:00:52
  • -
  • +
  • 인쇄
추리 소설 역사상 가장 매력있는 캐릭터
▲ 문예춘추사 ‘셜록 홈즈’ 전집 세트 [사진제공=문예춘추사]

[뉴스스텝] 추리 소설의 절대 고전 ‘셜록 홈즈’를 완역본으로 만날 수 있는 문예춘추사판 셜록 홈즈가 봄을 맞아 새로운 커버로 재탄생했다.

수많은 문학 작품 캐릭터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셜록 홈즈를 모르는 독자는 없을 것이다.

저자 아서 코난 도일은 40여년간 장편 4편, 단편 56편을 통해 세상에 셜록 홈즈를 소개했다.

셜록 홈즈는 이미 영화·드라마로도 제작돼 큰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원작에서 만날 수 있는 셜록 홈즈 특유의 재치와 번득이는 추리력을 뛰어넘기는 힘들다.

게다가 세간에 다수 출간된 셜록 홈즈 관련 도서들은 아동물에 치우쳐 명성에 비해 완역본을 읽어 본 사람을 찾기 힘들 정도다.

문예춘추사 셜록 홈즈 전집 세트 완역본은 그간 많은 분량에 지레 겁을 먹고 읽기를 도전하기 꺼렸던 독자라도 누구나 읽기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으며, 다양한 삽화를 삽입해 읽는 재미를 더해 홈즈의 진면목을 만날 수 있다.

특히 문예춘추사의 셜록 홈즈는 지난해 ‘윌라’와 협업으로 국내 최초로 오디오북으로도 출간돼 독자들의 큰 호응을 끌어냈다.

최신 번역으로 만나는 문예춘추사 셜록 홈즈 전집 세트는 ▲세련된 표지 ▲읽기 편한 본문 디자인 ▲가독성 뛰어난 번역과 편집 ▲친절한 주석으로 많은 독자에게 만족감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집에는 아서 코난 도일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담은 ‘셜록 홈즈의 발자취’가 부록으로 담겨 홈즈 전집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대부분 해결해 줄 것이다.

문예춘추사판 셜록 홈즈 전집은 셜록 홈즈 이야기가 주는 생동감을 그대로 담아 기존 블랙 커버에서 다채로운 컬러감을 입힌 리커버 에디션으로 출간됐다.

시리즈의 매력은 전권을 차례로 꽂았을 때 비로소 드러난다.

셜록 홈즈와 왓슨 박사의 멋진 실루엣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리커버 에디션은 예스24 온라인 서점에서만 단독으로 만날 수 있다.

특별히 전권이 담긴 하드 케이스를 제작해 소장 가치를 높였다.

문예춘추사 담당자는 “책 읽기 좋은 봄날, 셜록 홈즈를 아직 만나보지 못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완독하는 것을 추천한다”며 “수많은 셜로키언(Sherlockian)을 만들어낸 위대한 추리 소설을 읽다 보면 책장이 넘어가는 것이 아쉬운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춘천 우리내꿈터 이용자, 강원도 장애인 IT경진대회서 쾌거

[뉴스스텝] 춘천지역 정신재활시설인 우리내꿈터 이용자들이 제21회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IT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일보가 주최하고,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재활협회와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재활지원센터가 주관한 ‘제21회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IT 경진대회’ ITQ 한글 종목에서 한승우 이용자가 최우수상, 김승기 이용자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두 이용자는 약 2년간 꾸준히 ITQ 한글 자

함양문화원 문화강좌 수강생, 다양한 대회에서 우수 성과

[뉴스스텝] 함양문화원 문화강좌 수강생들이 최근 다양한 국내외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지역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였다.먼저, 시조창반 수강생들은 경상남도지사 주최 제18회 한‧중‧일 전국시조합창 경연대회에 참가해 합창부 장원의 영예를 안았으며 문인화반 수강생들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제73회 개천예술제 문인화 부문에서 강춘자가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제42회 함양전국휘호대회에서는 강춘자, 권위수,

강릉시, 2025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4년 연속 수상 쾌거

[뉴스스텝] 강릉시는 9월 30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시상식에서 4년 연속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강릉시는 2025년에도 ‘우수상’을 수상함으로써,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우수상 수상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은 고용노동부가 매년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 노력과 실적 등을 평가하여 성과가 우수한 자치단체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