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 운영... “대설·한파 대응체계 본격 가동”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5 22:35:02
  • -
  • +
  • 인쇄
24시간 비상근무체계 가동... 겨울철 재난 대응 본격화


[뉴스스텝] 경상남도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2025~20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기간을 운영하며, 대설·한파로 인한 도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도는 겨울철 자연재난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를 맞아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구축하고, 기상특보나 비상상황 발생 시 즉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단계별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중앙부처, 시군, 기상청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단체 대화방을 운영해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협업체계도 강화했다.

대설 대비를 위해 지난달부터 자동제설장치와 제설장비 작동 여부를 점검해 왔으며, 10~11월 두 차례에 걸쳐 유관기관 합동훈련을 실시해 긴급 상황 대응력을 높였다. 도는 결빙 취약구간 379곳, 제설 취약구간 269곳을 지정하고, 이 정보를 주요 내비게이션 플랫폼(T맵·카카오내비·네이버지도)과 공유해 운전자 주의를 환기한다.

대설 취약시설 점검도 마무리했다. 도는 10월 중 고립 예상지역 54곳과 노후주택, 시장 비가림, 패널 구조물(PEB), 농·축·수산 시설 등 적설 위험 시설 236곳을 조사해 사전 안전조치를 진행했다.

한파 대비책도 강화했다. 도는 한랭질환자에 대한 일일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하고, 독거노인·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노인돌봄서비스와 방문건강관리를 확대한다. 또한 경로당, 장애인 보호시설, 노인가장세대 등에 난방비를 지원해 건강 피해를 줄일 계획이다.

한파 쉼터는 총 6,955곳을 지정·운영하며, 네이버·카카오맵과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주변 쉼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버스정류장 등 이용 빈도가 높은 3,728개소에는 스마트쉼터, 온열의자, 방풍막 등 한파 저감시설을 설치하고 점검을 이어간다.

재정 지원도 확대했다. 도는 시군에 재난관리기금 6억 원을 사전 교부했고, 이달 중 특별교부세 11억 6천만 원을 추가 지원해 한파 저감시설 확충과 제설 자재 확보를 돕는다.

도는 겨울철 행동요령, 한파 안전 5대 기본수칙 등을 옥외전광판, 재난문자, 방송을 통해 안내하며, 고령층 대상 ‘행복 문자메시지(SMS) 알림서비스’를 운영해 보호자에게 기상특보와 안부 확인을 요청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한편, 도는 17~26일 각 소관 분야 점검을 실시하고, 25일 행정부지사 주재 ‘겨울철 재난안전대책 점검회의’를 열어 이행 상황을 확인하고 보완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베트남 입맛에 착! 김천포도, K-Market에서 달콤한 상륙”

[뉴스스텝] 김천시는 11월 18일 베트남 하노이 K-Market 본사에서 김천 신선농산물의 해외시장 개척과 글로벌 수출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K-Market과 수출협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김천 포도 판촉 행사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수출 협약식에는 배낙호 김천시장, 고상구 K-Market 회장, 이승우 김천시의회 부의장, 김응숙 시의원, 최진호 새김천농협조합장, 김태훈 경

경상원, ‘전통시장·골목상권 매니저 교육’ 졸업식 개최…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원장 김민철)은 ‘2025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 졸업식’을 20일 성남상권활성화재단 다목적강당에서 개최했다고 전했다.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은 도내 전통시장·골목상권을 이끌 매니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으로, ‘2025년 매니저 육성·지원사업’ 일환으로 선발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날 졸업식에는 경상원 김민철 원장을 비롯해 경기

부산시의회 이복조 의원,“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활용 촉진”을 위한 조례 개정

[뉴스스텝] 부산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복조 의원은 11월 20일 제332회 정례회에서 부산시의 건설폐기물 감축과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부산광역시 순환골재 등의 활용 촉진에 관한 조례'일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이번 개정안은 순환골재와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의 의무사용 비율 확대,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우수 개인·기관에 대한 포상 근거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현행 순환골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