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뉴질랜드, 농업분야 기술교류 확대 추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2 19:11:13
  • -
  • +
  • 인쇄
오영훈 지사, 20일 오후 주한 뉴질랜드 대사 및 제스프리 대표단 면담
▲ 뉴질랜드대사 면담

[뉴스스텝] 기후 및 자연환경이 비슷한 제주특별자치도와 뉴질랜드가 농업 분야 기술협력 등 상호 교류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오영훈 지사는 20일 오후 제주도청 집무실에서 던 엘리자베스 베넷(Dawn Elizabeth Bennet) 주한 뉴질랜드 대사와 만나 양 지역의 교류 협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이날 면담에는 뉴질랜드의 키위 협동조합이자 세계 최대 프리미엄 키위 브랜드인 제스프리 코리아 한국·제주도 대표 및 뉴질랜드 무역진흥청 관계자 등이 함께했다.

베넷 대사는 “비슷한 기후와 자연환경을 지닌 제주와 뉴질랜드가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한민국 제스프리 키위의 재배 면적 90% 이상이 제주에 있다는 것이 아주 좋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제스프리 코리아 대표단은 “2004년 서귀포시와 제스프리 간 키위 생산 협약을 체결한 이후 감귤 성공 신화를 이뤄낸 제주농가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시도와 기술적인 투자를 통해 지속가능한 제주농업을 이루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오영훈 지사는 “감귤의 당도관리 재배기술은 키위 재배와 비슷한 유형으로, 제주농가가 키위를 대체작물로 삼기에 상당히 유리한 부분이 있다”며 “제주도가 수급관리연합회 설립을 통해 농정의 틀을 바꿔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만큼, 대체작물 전환을 위한 기술교류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제주와 뉴질랜드는 섬이라는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농업뿐만 아니라 관광, 문화 분야 등에서도 교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주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주시고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 확대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던 베넷 뉴질랜드 주한 대사를 비롯해 뉴질랜드 무역진흥청 상무 및 제스프리 임원 등 70여 명은 제주 제스프리 농장 현장을 방문하기 위해 19~20일 일정으로 제주를 찾았다.

제주도는 지난해 기준 대한민국 키위 생산량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스프리 키위의 국내 재배 면적 중 90%(전국 232ha, 제주 212ha) 이상이 제주에 자리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창군, 고창군 소상공인연합회 ‘제3회 소상공인 역량강화 아카데미’ 개최

[뉴스스텝] 고창군과 고창군 소상공인연합회(회장 전치호)는 지난 19일 관내 소상공인과 함께하는 ‘제3회 소상공인 역량강화 아카데미’를 개최했다.소상공인 역량강화 아카데미는 소상공인들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특히 고창군 소상공인의 현실적 경영 환경을 반영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다.올해 세 번째 아카데미는 ‘고객의 마음

청주시, 12개 부서 SNS 담당자 협업 실무 회의 개최

[뉴스스텝] 청주시는 22일 임시청사 대회의실에서 부서별 SNS 담당자 실무 회의를 개최했다.지난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정책 홍보 SNS 채널을 운영하는 12개 부서 담당자들이 참석했다.이날 회의에는 청주시 홍보대사이자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인 최재원 씨가 초빙돼 SNS 콘텐츠 기획·운영 역량 강화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최재원 씨는 청주시 특화 콘텐츠로 큰 호응을 이끌어낸 경험을 바

하남시 신장1동행정복지센터, 충무공이순신기념사업회와 함께하는 따뜻한 동행

[뉴스스텝] 하남시 신장1동행정복지센터(동장 윤복순)는 충무공이순신기념사업회(회장 김병찬)가 신장1동에 거주하는 독거어르신 지0덕님(기초생활수급자)을 위해 주거환경 개선과 생활가전·가구 등을 후원했다고 9월 22일 밝혔다.충무공이순신기념사업회 김병찬 회장은 어르신의 안타까운 사연을 접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배 냉장고 지원 화장실 타일 및 변기 교체 기본 가구(서랍장 등) 설치 등을 지원했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