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박수근미술관·양구백자박물관 문체부 ‘로컬 100’ 선정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2 19:00:22
  • -
  • +
  • 인쇄
국내외 집중 홍보, 코레일 관광개발 여행상품 출시 등 지역 활력 기대
▲ 양구박수근미술관·양구백자박물관 문체부 ‘로컬 100’ 선정

[뉴스스텝] 양구군립박수미술관과 양구백자박물관이 지난 17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지역문화 매력 100선 ‘로컬 100 지역문화 명소’로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문화의 매력과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역의 대표 유무형 문화자원을 선정하는 ‘로컬 100’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 228개 지자체와 문체부 국민발굴단의 추천을 받은 후보 461개 중에서 매력성, 특화성, 지역문화 연계성, 문화·경제·사회적 효과, 지역발전 기여 가능성 등에 대한 평가와 누리소통망(SNS) 언급량, 추정 방문객 수 등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평가를 통해 지역문화 명소 58개, 지역문화 콘텐츠 40개, 지역문화 명인 2명을 선정했다.

‘로컬 100’으로 선정된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은 한국의 현대 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양구 태생의 가장 한국적이고 서민적인 박수근 화백의 예술혼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미술상과 사생대회, 전시 등의 각종 행사를 연례 개최하여 방문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곳이다.

또한 양구백자박물관은 백자의 원료가 되는 질 좋은 백토 주산지로서, 조선시대 찬란한 백자 문화를 꽃피울 수 있게 한 양구의 조선백자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2022 대한민국 공공건축상’을 수상할 정도로 미적 감각이 뛰어난 건물뿐 아니라 백자 빚기 체험과 관련 전시회 등의 다양한 행사로 관광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과 양구백자박물관은 양구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예술의 독창성과 빼어남을 느껴볼 수 있는 매력을 인정받아 지역문화 매력 100선 ‘로컬 100 지역문화 명소’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과 양구백자박물관은 국내외에서 집중적인 홍보가 이뤄지며, 향후 코레일 관광 개발의 로컬 100 여행상품 출시 등 다양한 사업이 추진될 예정으로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명옥 관광문화과장은 “이번 로컬 100 선정을 통해 앞으로도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와 관광객 유입을 확대해 지역소멸에 대응하고 더불어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시설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금융위원회,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유통플랫폼) 예비인가 신청 접수결과

[뉴스스텝] 금융위원회는 9월 23일 ~ 10월 31일 중 조각투자 장외거래소(유통플랫폼) 예비인가 신청서를 접수했으며 총 3개사가 신청서를 제출했다.향후 금융감독원 및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연내 금융위원회 예비인가(최대 2개사) 의결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예비인가를 받은 자는 인적, 물적요건 등을 갖춘 후 본인가를 신청하여 금융위원회의 본인가를 받으면 영업을 개시하게 된다.

조달청, 주인 없는 땅 357필지… 국유화 추진

[뉴스스텝] 조달청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등 전국의 소유자 없는 부동산(무주부동산) 357필지(2,223,632㎡)를 국유화하기 위해 2025년 11월 3일부터 2026년 5월 2일까지 6개월간 공고를 실시한다. 공고대상은 지적공부에 등록이 누락되어 신규 등록됐거나, 소유권에 관한 사항이 복구되지 않은 토지 등이다. 이번 공고기간 내 정당한 권리자나 이해관계인 등이 권리를 신고하지 않으면 국가가 소유권을

관세청, 첨단산업 클러스터 신속 구축 및 비용 절감 지원

[뉴스스텝] 관세청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의 신속한 구축과 비용절감을 위해 '보세건설장 관리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여 10월 3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보세건설장은 산업시설, 제조공장 등의 건설에 소요되는 외국산 설비· 기자재 등을 완공할 때까지 과세보류로 설치·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서,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비용절감과 절차 간소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이번 개정에서는 보세건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