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 순회전 〈부마, 민주주의의 새벽을 열다.〉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1 18:55:17
  • -
  • +
  • 인쇄
부마민주항쟁 45주년 기념 전시
▲ [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 순회전시 부마, 민주주의 새벽을 열다 웹포스터]

[뉴스스텝] 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 순회전 '부마, 민주주의의 새벽을 열다.'가 오는 8월 2일부터 제주4‧3평화기념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이사장 최갑순),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김종민), 제주특별자치도,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이사장 이행봉)가 공동 주최한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의 시민과 학생들이 박정희 유신독재에 항거하여 펼친 민주화운동이다. 1970년대 유신체제의 폭압 속에서도 시민의 힘을 여실히 보여준 항쟁으로, 사실상 유신독재의 붕괴를 아래로부터 촉발한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결정적 사건이다. 부마는 이듬해 5‧18민주화운동과 1987년 6‧10민주항쟁으로 계승되어 이 땅에서 군부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가 면면히 이어질 수 있게 한 출발점이었다.

부마민주항쟁 45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부마 전시가 처음으로 제주에서 개최된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부마항쟁의 역할과 위상을 되돌아보고 제주도민에게 알리기 위해 4‧3평화재단과 함께 이번 전시를 준비했다.

'부마, 민주주의의 새벽을 열다.'전은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이 그동안 수집한 ‘선언문’, 사진, 기자의 취재원고, 여대생의 일기장에서부터 항쟁 참가자들의 구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소개한다. 이와 더불어 2019년 부마항쟁 40주년을 맞아 시민 180여 명이 함께 그린 대형 걸개그림 '부마민주항쟁 부활도', 회화작품,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웹툰, 일러스트 등 다양한 콘텐츠들도 전시한다. 2018년 부마재단 설립 이후 지난 6년간 수집하고 제작한 결과물이 이번 전시에 총망라되어 있다.

전시는 부마민주항쟁의 주요 사건과 항쟁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재조명함으써,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역사적 순간을 돌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관계자는 “이번 전시로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한 기둥인 부마민주항쟁이 ‘잠들지 않는 남도’ 제주도민들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부마민주항쟁 45주년 기념전 '부마, 민주주의의 새벽을 열다.'는 ▲제주(제주4‧3평화기념관 기획전시실) 8월 2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민주공원 기획전시실) 11월 1일부터 12월 8일까지 순회전으로 개최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남양주시, 화도·수동·호평·평내 학부모와 미래교육 소통의 장 열어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23일 화도읍 소재 한 카페에서 화도·수동·평내·호평 지역 ‘중·고등 학부모 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를 성황리에 개최했다.‘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는 권역별·학교급별로 학부모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자녀 교육 경험을 나누는 등 실질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 네 번째로 열린 이번 아카데미에는 화도·수동·호평·평내 지역 15개 중·고등학교 학

남양주시 호평애향기동대, 호만천 마을가꾸기 행사 실시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지난 19일 호만천 일대에서 호평애향기동대가 마을가꾸기 행사를 열고 수국 500주 식재와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마을가꾸기 공모사업에 선정돼 마련된 것으로, 주민들에게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고 호만천을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가꾸기 위해 추진됐다.행사에는 호평애향기동대 단원 40여 명이 참여해 호만천 주변에 수국을 식재하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등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는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에 관한 문제”

[뉴스스텝]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3일 열린 ‘제4회 전국 교육정책 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자리에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를 위한 노력과 탄력적이고 유연한 교원정원 제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교육부, 교육정책 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해 이뤄졌다.토론회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윤건영 충청북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