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정연구원, ‘청주시 ESG경영 도입’ 토론회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0 18:35:41
  • -
  • +
  • 인쇄
청주시 도입 방안에 대한 방향성 제시 및 시사점 논의
▲ 청주시정연구원, ‘청주시 ESG경영 도입’ 토론회 개최

[뉴스스텝] 청주시정연구원은 20일 연구원 회의실에서 ‘청주시 ESG 경영 도입을 위한 현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콜로키움은 발표자 발표 후 참여자들이 토론하며 의견을 조율하는 토론 방식이다.

ESG 경영은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고려한 전략을 수립해야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기존에 지방자치단체의 ESG 경영은 동떨어진 이야기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높아지면서 공익적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방자치단체의 ESG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원에서는 ESG 경영의 청주시 도입 방안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이번 콜로키움을 기획했다.

좌장 원광희(연구원장)를 비롯한 남석화(청주시 정책기획과 과장), 양세훈(한국ESG전략연구원 원장), 홍형득(강원대학교 교수), 오수길(고려사이버대학교 교수), 김봉원(한국지역연구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발표자로 나선 양세훈 원장(한국ESG전략연구원장)은 ‘ESG 트랜드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국내‧외 지방자치단체의 ESG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지방자치단체의 ESG 실천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ESG 경영을 청주시에 도입하기 위해 청주시민, 행정, 의회, 기업 등 청주시민 모두가 ESG를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박문식 전문연구위원(청주시정연구원)은 ‘청주시 ESG 대응 현황’을 주제로 청주시의 사업을 환경, 사회, 지배구조별로 분석하여 현황 및 발전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면서, ESG 요소를 모두 포함된 대표 사업을 발굴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원광희 연구원장은 “지속하여 성장하는 청주시가 ESG행정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환경 보호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청주시와 연구원이 협력하여 더욱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오늘의 주인공은 나야 나! 하남시 신장2동 주민자치프로그램 발표회 개최

[뉴스스텝] 하남시 신장2동 주민자치회(회장 임강종)는 지난 17일, 신장2동 행정복지센터 2층에서 ‘2025년 주민자치프로그램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신장2동 주민자치프로그램 수강생들이 올 한해 갈고닦은 실력을 발휘하는 화합의 장으로서 행사장 입구에 서예와 캘리그래피 작품을 전시하고 실버댄스, 노래교실, 자이브, 우쿨렐레 등 총 11개 팀이 열정적인 공연을 선보였다. 또한 고고장구, 안가

하남 미사강변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 지역 내 어르신들을 위해 겨울맞이 '따뜻한 차 나눔' 실천

[뉴스스텝]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은 11월 1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미사강변 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의 후원으로 복지관 내 ‘나눔카페’에서 지역 어르신들에게 커피, 전통차, 허브티 등 따뜻한 음료 400잔을 무료로 제공했다. 미사강변 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은 학원차와 화물차 등 지역 운수업 종사자들로 이루어진 자발적 네트워크로, 주민으로서 지역 어르신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을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 청년 1인 가구 동네친구 만들기! 2025년‘미소다(미사소셜다이닝)’성료

[뉴스스텝] 지난 11일,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관장 조혜연)에서 진행한 청년 1인가구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 ‘미소다(미사 소셜 다이닝)’가 16번의 소중한 인연을 선물하는 것으로 올해의 사업이 마무리됐다. ‘미소다’는 하남시 관내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으로, 함께 요리하고 식사하며 이웃과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남시의 지원을 통해 2023년부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