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버스 노선 개편에 따른 1차 보완 시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8 18:25:37
  • -
  • +
  • 인쇄
출퇴근·등하교 추가 버스 투입 및 시간 조정…서귀 도심급행 정차 정류소 확대
▲ 제주도, 버스 노선 개편에 따른 1차 보완 시행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일 버스 노선 개편에 따른 도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보완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

버스 노선 개편 이후 주요 민원사항을 바탕으로 주 단위로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개선사항을 실행할 방침이다.

주요 민원사항으로는 ▲운행횟수 증회 ▲운행시간대 변경 ▲노선 변경 요청 ▲정류소 추가 지정 등이 접수됐다.

노선 개편 7일째인 8일부터 1차 개선이 이뤄진다.

우선, 출퇴근 시간대 조정 요청이 많았던 222번(제주→표선), 291·292번(한림→제주), 311번(함덕→제주), 432번(제주시내 순환) 노선의 일부 시간대가 조정되고,

제주에서 서귀포로 가는 막차 시간대 버스 공급 확대를 위해 800·801번의 배차 시간 및 노선이 조정된다.

출퇴근 및 등하교 편의 향상을 위해 500번 서귀포시 도심급행버스의 정차 정류소도 기존 12개소에서 16개소로 확대된다.

또한, 12일 도내 주요 고등학교 개학일에 맞춰 등하교 및 만차 시간대에 수요맞춤형 버스를 집중 투입한다.

노선 개편과 동시에 11개 노선에 16대가 투입됐던 맞춤형 버스는 7개 노선에 15대가 추가돼 총 31대로 확대 운영된다.

추가 투입 노선은 ▲제주↔대정 급행(151-1번) ▲서귀→제주급행(800-1번) 시간 조정 ▲제주↔성산 급행(111-1번) ▲제주↔성산 간선(211-1번) ▲제주↔교래↔서귀 간선(232-1번) ▲신흥↔서귀 간선(295-1번) ▲오등·영실↔제주여고(434-1·435-1번)이다.

제주도는 등·하교 및 출·퇴근 시간대의 만차 상황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는 노선을 신속히 파악하고, 해당 노선에 대한 추가 보완 대책을 실행할 방침이다.

특히 도민 불편이 가장 많이 접수된 231·232번 노선에 대해서도 보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231·232번 노선은 제주 남동부 중산간 지역과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이용률 저조와 장거리 노선의 비효율 문제로 이번 개편 시 서귀포 종점이 남원으로 변경돼 불편이 발생했다.

제주도는 감차된 버스 대수는 유지하면서도 도민의 대중교통 이용편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으며, 이달 중 개선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노선 개편에 따른 불편사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보완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매주 목요일마다 개선된 사항을 실행할 계획”이라며 “도민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양산시립독립기념관, 특별전 연계 추모 헌다례 개최

[뉴스스텝] 양산시립독립기념관은 오는 17일 윤현진 선생 서거 104주년을 기념해 국가보훈부 ‘이달의 현충시설’로 지정된 윤현진 선생 흉상 앞에서 추모 헌다례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윤현진 선생(1892~1921)은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 출신으로, 일본 유학 시절 조선유학생학우회를 조직해 항일운동에 앞장섰다. 귀국 후에는 대동청년단에서 활동하고, 의춘학원(宜春學院)을 세워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의춘상행(宜

함안군, ‘조림,숲가꾸기분야 안전보건협의체’ 정기 회의 개최

[뉴스스텝] 함안군은 지난 9월 10일 함안군산림조합 회의실에서 ‘조림·숲가꾸기 분야 안전보건협의체’ 정기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함안군산림조합과 공동으로 마련됐으며, 관내 산림법인 관계자 24명이 참석했다.최근 전국적으로 산림사업장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참석자들은 관내 산림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이 자리에서 최근 발생한 산림사업장 안전사고 사례

경북도, 신세원 발굴 선도적 추진위한 학술회 개최

[뉴스스텝] 경북도는 11일 안동 스탠포드호텔에서 도 재정을 적극 살리고 환경개선과 도민 건강증진을 위해 ‘폐기물 소각 및 매립시설 과세 방안 학술회’를 개최했다.이번 학술회는 한국지방세연구원과 공동으로 경북도가 의뢰한 폐기물 소각 및 매립시설 과세 신설 타당성 연구용역을 지방세연구원에서 수행해 마련한 자리로서 올해 상반기 행정안전부 제도개선 제안 채택 이후 현실적인 대안 모색을 위해 개최하게 됐다.학술회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