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회 정선로컬써밋, 지속 가능한 로컬생태계를 위한 행사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6 17:20:43
  • -
  • +
  • 인쇄
22일~24일 3일간 ‘5만명 이하 지역에서 로컬크리에이터로 살아기가’주제로 발제 및 로컬 비즈니스 사례공유
▲ 제 2회 정선로컬써밋, 지속 가능한 로컬생태계를 위한 행사 개최

[뉴스스텝] 정선군도시재생지원센터는 오는 11월 22일 ~ 24일 3일간 정선 파크로쉬 리조트앤웰니스 일대에서 제 2회 정선로컬써밋을 개최했다.

지난 3월 정선로컬써밋 한일 컨퍼런스 이후 제2회 정선로컬써밋에서는 ‘청년’이 중심이 되어 담론을 주재했다.

이번 제 2회 정선로컬써밋은 정선을 중심으로 정부부처 공모사업을 수행하고 여러 활동하는 소도시 청년 창업가 및 활동가들이 함께 모여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 대책을 모색하는 자리다. 정선군을 비롯한 5만명 이하 지역의 청년들을 초청하고, 로컬크리에이터로서 성장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함께 모여 소도시에서의 생존과 삶에 대해 토론했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인구수 5만이하의 지역은 다른 비즈니스 환경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원과 담론은 중소도시 이상의 환경에 맞춰져 있다는 문제 인식이 이번 로컬써밋의 배경이다. 각 지역의 로컬 크리에이터들의 생존에 대한 노하우와 사례를 공유하며 청년들의 정착을 돕고 풍부한 사례를 얻어가도록 기획됐다. 또한, 이번에 새롭게 정선로컬써밋위원회를 만들어 정선군 관내의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했으며 ‘로컬브랜드 갤러리’에는 정선에서 로컬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브랜드(보란정민 농사일기, 자그로 농장, 머물다가, 어도원183, 곤디카페, 감탄카페, 사진작업실 들꽃, 디저트 와와, 다희마켓, 운기석9020 협동조합, 모두롱 정선샌드, 난다케이크 정선샌드)가 전시되어지며 정선로컬 브랜드 외에 총 16개의 부스가 운영됐다.

이번 행사의 개막식은 한양대 국제대학원 전영수 교수가 로컬리즘을 주제로 기조 연설을 맡았다. 이후 정선군 관내 청년이 중심이 되어 농업, 육아, F&B, 예술을 주제로 발제 및 토크쇼가 진행됐다. 토크쇼는 로컬라이프와 비즈니스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청년창업가의 이야기를 듣고 주제별로 담론을 할 수 있는 시간이다. 마지막으로 가리왕산 케이블카 일몰 투어와 웰니스 프로그램으로 정선의 아름다움과 휴식을 체험했으며, 정선의 로컬 브랜드 설명을 듣고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도슨트 세션도 진행됐다.

주최측은 이 행사를 통해 정선을 알리고, 청년이 주도적으로 각 지역의 로컬크리이에터와의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익산시, 국민기초생활보장 담당자 역량 강화 나서

[뉴스스텝] 익산시는 30일 고도한눈애(愛) 익산세계유산센터에서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80여 명을 대상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담당자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변화하는 복지제도에 대한 이해와 민원 응대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주요 개정사항 △2026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중위소득 인상 및 제도개선 △민원인의 마음을 얻는 '소통 스킬' 등

김진경 강남구의원, 경로의 달 맞아 어르신들과 소통의 시간 가져

[뉴스스텝] 강남구의회 김진경 의원(신사동, 논현1동)은 논현1동과 신사동 경로잔치에 참석해 어르신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경로의 달 10월을 맞아 강남구 동별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하신 어르신들의 노고에 감사를 전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진경 의원은 지난 10월 27일(월) 엘리에나호텔에서 열린 논현1동 경로잔치와 30일(목)

거창창포원, ‘나만의 식물일기’ 프로그램 운영

[뉴스스텝] 거창창포원은 ‘국화 예술속 정원산책’ 행사 기간 중앙광장에서 방문객을 대상으로 체험 프로그램인 ‘나만의 식물일기’를 운영한다.이번 프로그램은 11월 5일부터 8일까지 4일간 거창창포원 일원에서 진행되며, 하루 2회(오전 10시~12시, 오후 1시~3시) 운영된다. 회차당 20명 내외, 총 40명 규모로 진행되며, 현장 신청 및 거창창포원 누리집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참가자들은 창포원 내 식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