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2025), 프랑스 안시서 ‘한국애니메이션의 밤’ 성황리에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1 17:00:34
  • -
  • +
  • 인쇄
▲ 왼쪽부터 오유진 조연출, 김보솔 감독 / 이준희 감독 / 오문영, 모효진 감독 / 이재혁 감독

[뉴스스텝] 제27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2025)이 주최한 ‘한국애니메이션의 밤(Korea Animation Reception)’ 행사가 지난 6월 10일 19시(현지시각) 프랑스 안시 노보텔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2016년부터 매년 개최한 ‘한국애니메이션의 밤(Korea Animation Reception)’은 전 세계 애니메이션 감독 및 관계자들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는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의 대표적인 국제 행사이다. 이번 2025년 행사 참석자로는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수상작 '플로우' 론 다인스 프로듀서, 학생 아카데미 수상 '너구리와 손전등' 김한나 감독, 안시 단편 대상 '슬픔의 물리학' 테오도르 위셰브 감독, 안시 장편 경쟁 '차오' 아오키 야스히로 감독과 미드나잇 선정작 '올 유 니드 이즈 킬' 아키모토 켄이치로 감독,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장편 대상'에이프릴과 조작된 세계' 프로듀서 마크 주셋, 그리고 BIAF와 오랜 협력 관계인 자그레브애니메이션영화제 다니엘 슈지치 예술감독, 도쿄아니마어워드 코지 다케우치, 브뤼셀애니메이션영화제 위원장 카린 반더비르트와 안시 심사위원 도미니크 수팅등 약 200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주었다. 이 밖에도 세계 주요 애니메이션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의 성과와 가능성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제49회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에서는 최대로 많은 한국 작품이 초청됐다. 김보솔 감독의 '광장'이 장편 애니메이션 콩트르샹 경쟁 부문에 선정됐고, 단편 부문에 이재혁 감독 'CCTV', 오문영, 모효진 감독 'Get Back', 이준희 감독의 '블라디미르 코마로프'가 초청됐으며, 이들 감독은 모두 이번 ‘한국애니메이션의 밤’에 참석해 소감을 전하고, 안시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의 저력을 직접 알렸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BIAF 사무국은 “국제 애니메이션의 중심지인 안시에서 전 세계 전문가들과 교류하며, 한국 애니메이션의 경쟁력과 독창성을 알릴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으며, 특히 이번 2025년 행사는 모로코, 노르웨이, 헝가리, 조지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참석 요청이 쇄도하며, BIAF의 국제적 위상과 인지도를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아카데미 공식지정 국제영화제인 제27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2025)은 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열린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