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의회, 도내 최초 장루‧요루 장애인용 세척시설 설치!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31 16:45:08
  • -
  • +
  • 인쇄
이 의원,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 소수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설치한 것을 계기로 도내 수많은 공공건물에도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혀
▲ 전북자치도의회, 도내 최초 장루‧요루 장애인용 세척시설 설치!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가 전국 공공청사 최초이자 도내 최초로 장루‧요루 장애인을 위한 세척시설을 설치했다.

장루‧요루는 대장과 소장 등의 소화기나 요관(尿管) 등의 비뇨기 수술 후 장과 요관 등의 일부를 몸 밖으로 유도하여 만든 변과 소변의 배출구를 말한다.

장루‧요루의 경우 괄약근과 같은 조절 기능이 없기 때문에 24시간 수시로 주머니를 비워주고 깨끗하게 씻어야 하지만 이 주머니를 비우고 관리할 수 있는 별도의 시설을 갖춘 화장실이 국내에는 거의 없다. 이로 인해 해당 장애인들이 경제 및 사회활동은 물론 간단한 외출을 하는 데 상당한 제약과 불편을 감내해야 한다.

이병도 도의원은 지난 2022년 11월, 경기도에 이어 전국 광역자치단체로는 두 번째로 ‘전북특별자치도 장루‧요루 장애인 지원 조례’를 대표발의했다. 도의회는 이를 근거로 전국 공공청사 중 최초이자 도내 최초로 청사 1층 남여 장애인화장실에 장루‧요루 장애인을 위한 세척시설을 설치했다.

도의회 청사에 설치된 장루‧요루 장애인용 세척시설은 오는 11월 1일부터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이 의원은 “현행법령 상 지체, 청각, 시각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만을 의무화하고 있어 그 이외의 소수 장애인들은 불편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장루‧요루 장애의 경우 세척시설 없이는 집 바깥의 활동을 거의 할 수 없기 때문에 민간시설은 차치하고라도 공공장소 및 공공건물 등에 장루‧요루 장애인을 위한 세척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 소수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설치한 것을 계기로 도내 수많은 공공건물 및 공중화장실 등에도 장루‧요루 장애인을 위한 세척시설을 설치하여 장루‧요루 장애인들이 경제활동 및 사회생활을 활발하게 하는데 걸림돌이 없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공공시설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도내 장루‧요루장애인 수는 10년 전 대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올해 9월 기준 699명이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장애등록을 하지 않고 지내는 경우가 많아 실제 장루‧요루장애인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창원특례시, 중소기업 탄소규제 대응‘정부 공모사업’선정 쾌거

[뉴스스텝] 창원특례시는 관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그에 따른 정부 공모사업에서 9개 기업이 선정되어 총 사업비 7억 2,800만 원(국비 5억 3,200만 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시의 지원사업은 2026년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직・간접 수출 중소기업의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탄소중립 설비 및 디지

경기도, 민선8기 ‘극저신용대출 2.0’ 시행합니다

[뉴스스텝]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선7기 극저신용자 대출은 코로나로 인해서 정말 힘든 처지에 계시는 도민들을 위한 제도로 만들어졌다”면서 “코로나 직후에 어려웠던 우리 도민들에게 단비와 같은 금융 지원이었다”고 밝혔다.이에 김동연 지사는 “당시 많은 분들이 다중 채무를 갖고 계신 어려운 분들이었고, 약 11만 명이 (극저신용자 대출제도의) 혜택을 받았는데, 그중에 75%의 대출 금액이 생계비로 쓰셨다고

강릉시, 청렴혁신추진단 부패취약 개선대책 성과보고 개최

[뉴스스텝] 강릉시는 지난 15일 월요일 '시민참여 청렴혁신추진단' 회의를 열고, 청렴한 계약문화 정착을 위해 추진한 수의계약 분야 부패 취약 집중개선 성과를 공유했다. 시는 그동안 수의계약 총량제 강화 전 부서 비대면 전자 계약 전면 실시 계약이행통합서약서 도입으로 10종~17종에 달하던 계약서류를 1종으로 간소화하는 등 주요 청렴 시책을 지속 추진해 왔다. 주요 성과로, 본청 등은 ‘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