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글로컬 관광상품 브랜드 “헬로! 강원”8년 연속 국가대표브랜드 대상 수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27 16:20:30
  • -
  • +
  • 인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연계 글로컬(Global+Local) 강원관광 활성화 홍보마케팅 추진
▲ 강원도, 글로컬 관광상품 브랜드 “헬로! 강원”8년 연속 국가대표브랜드 대상 수상

[뉴스스텝] 강원도 지역관광 콘텐츠 관광상품 브랜드 ‘헬로! 강원’ 이 8년 연속지자체 관광부문 국가대표브랜드 대상을 수상했다.

국가대표브랜드 대상은 매경미디어그룹과 소비자브랜드평가원이 공동으로 조사, 평가하는 브랜드 인증제도로, 매년 정부부처, 기관, 지자체, 민간기업의 브랜드 중에서 소비자에게 좋은 콘텐츠와 서비스, 제품으로 신뢰를 쌓으며 경쟁력을 높인 브랜드를 찾아 시상하고 있다.

‘헬로! 강원’ 브랜드는 2016년부터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체부,한국관광공사 공동의 글로컬(Global+Local) 지역 관광상품 육성 사업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심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헬로! 평창’ 브랜드로 시작되어, 올림픽 이후 레거시와 강원도 전역을 아우르는 브랜드로 육성하고자 ‘헬로! 강원’으로 확대된 10+2선 테마상품을 통해 강원도의 숨겨진 관광자원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국제관광 재개에 따른 해외 시장 선점을 위해 동계스포츠 등 지역 콘텐츠를 활용한 강원 글로벌데이 특화상품 개발과 함께 ‘트립어드바이저’, ‘트립닷컴’ 등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공동 글로컬 관광 상품판촉 프로모션 및 홍보 캠페인을 추진했다. 문체부 평가를 통해 글로컬 관광 우수지역으로 선정됐다.

또한, 2023-2024 한국방문의 해 및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원년의 해를 맞아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웰니스, 동계, 한류, 비무장지대(DMZ) 등 비교 우위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상품을 다양화하고, 2023 강원세계산림엑스포,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등 국제 이벤트와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 등 강원관광 홍보마케팅을 집중 전개할 예정이다.

심원섭 강원도 관광정책과장은 “'헬로! 강원'의 국가브랜드 8년 연속수상을 매우 뜻깊게 생각하며, 오는 6월 11일 새롭게 출범하는 강원특별자치도의 글로컬 관광상품이 국가대표브랜드를 넘어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