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곡성 고향이음 아너스’ 행사 열어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7 16:00:53
  • -
  • +
  • 인쇄
‘고액기부자, 기부의 의미를 찾게 해준 곡성군에 감사’소감 밝혀
▲ 곡성 고향이음 아너스행사 단체사진

[뉴스스텝] 전남 곡성군은 지난 13일 오후 4시, 곡성군 보건의료원 2층 건강마루에서 ‘곡성 고향이음 아너스’ 행사를 열고, 고향사랑기부제에 참여한 고액 기부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숭고한 나눔, 영원한 이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500만 원 이상 기부자 등 44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고향사랑기부 홍보영상 상영, 참석자 소개, 기금 추진 현황 보고, 감사패 전달, 소아과 방문 순으로 진행됐다.

곡성군 대표 지정기부 사업인 '곡성에 소아과를 선물하세요','어르신들을 위한 마을빨래방'사업에 공감하는 고액 기부자들을 초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지정기부 관련 영상과 현황 등에 대해 기부자들이 많은 관심을 표했다.

‘저도 아이를 키워봤지만 지역청년들이 소아과 없이 아이를 키우는게 정말 쉽지 않을 겁니다. 제가 곡성 아이들에게 아플 때 방문할 수 있는 소아과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어서 너무 기쁘네요. 이래서 기부를 하는 거 같습니다’ -(주)거성자동차공업사 안재현 대표-

‘저도 나이가 들어 가지만 저희 부모님 같으신 어르신들을 위한 좋은 사업에 기부할 수 있어서 뿌듯합니다. 내년에도 꼭 다시 기부하겠습니다.’-(주)씨엔텍이엔지 윤희중 대표-

조상래 곡성군수는 “기부에 참여해 주신 분들의 진심 어린 마음이 곡성의 미래를 움직이고 있다”라며, “그 정성은 아이들의 웃음과 건강을 지켜주는 소아과, 버려진 생명에게 새 삶을 선물하는 유기동물 보호센터, 어르신의 일상에 휴식과 온기를 전하는 마을 빨래방으로 이어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기부자 한 분 한 분의 참여와 믿음이 곡성이 더 발전하기 위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라며 “기부금이 군민 모두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책임감 있게 활용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군은 이번 행사를 통해 고향사랑기부제 참여자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기부금이 지역의 복지·보건·생활 인프라 확충에 실질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공유했으며, 앞으로도 기부자에 대한 감사와 존중의 문화를 확산하고, 지역에 따뜻한 나눔의 가치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완주군 아동친화정책 전국 인정… 최정설 주무관 장관상

[뉴스스텝] 전국 최초 아동옴부즈퍼슨 사무소의 완주군 최정설 주무관이 아시아태평양 아동친화도시 지방정부협의회(APUCFC) 유공 표창에서 ‘아동친화선도상(보건복지부장관상)’을 받았다. 이번 표창은 18일, 충남 홍성군에서 열린 APUCFC 10주년 기념식에서 수여돼 의미를 더했다. 이번 수상은 완주군이 아동의 권리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

경기도의회 유종상 의원, 낙상 방지와 화재 예방을 한번에, 어르신 안전사업 시너지 높여야야 해...칸막이 없는 복지행정 주문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유종상 의원(더불어민주당, 광명3)은 11월 18일 진행된 종합행정사무감사에서 부서 간 칸막이를 걷어낸 “어르신 안전 사업의 통합 추진”과 반복되는 행정소송을 줄이기 위한 “감정평가 방식의 근본적 개선”을 촉구했다.유종상 의원은 도시주택실의 ‘어르신 안전하우징’ 사업과 기후환경에너지국의 ‘가스안전장치 보급’ 사업이 별개로 진행되는 것과 관련해 “어르신 안전하우징은 문턱

성남시, '배임 수익' 추징보전 해제 강력 반대 의견서 제출

[뉴스스텝] 성남시는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사건의 남욱 등 주요 피고인들이 법원에 제출한 추징보전 해제 신청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는 의견서를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성남시는 의견서에서 “이번에 검찰이 추징보전한 2,070억 원 중 일부라도 해제될 경우, 성남시(성남도시개발공사)가 진행 중인 4,054억 원 규모의 ‘이익배당금 무효확인(배당결의무효확인)’ 소송(수원지법 성남지원 202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