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사)낙안읍성판소리보존회, 융복합 공연 '순천가:삼삼오오'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7 16:00:15
  • -
  • +
  • 인쇄
2025전남문화재단 공연장협력예술단체 지원사업 선정작
▲ 순천시 (사)낙안읍성판소리보존회, 융복합 공연 '순천가:삼삼오오' 개최

[뉴스스텝] (사)낙안읍성판소리보존회가 100년 전 순천의 정신과 아름다움을 노래한 판소리 순천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융복합 공연 '순천가: 삼삼오오'를 오는 18일 오후 2시, 7시 순천시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2025전남문화재단 공연장협력예술단체지원사업’에 선정된 작품으로 순천의 문화유산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하는 대형 프로젝트이다.

17미터 와이드 스크린을 가득 채우는 압도적인 미디어아트와 대한민국 최초로 시도되는 대규모 순천가 합창단의 웅장한 목소리를 만날 수 있다.

이번 작품은 ‘순천가’의 창작자 벽소 이영민 선생이 시간의 벽을 넘어 자신이 노래했던 땅을 다시 밟으며, 현재의 순천을 여행하는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여섯개의 길을 따라가며 옛이야기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순천의 역사를 세대가 함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세대 통합형 공연이다.

다양한 장르의 국악 콘텐츠가 어우러진 이번 무대는 순천가 여정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취타대’를 필두로, 순천의 넋을 기리는 ‘흑두루미춤(황경하 안무)’, 평화의 땅 낙안을 상징하는 ‘사물놀이패’, 그리고 호호가인의 애틋함을 담아낸 ‘해금 연주’ 등 순천을 대표하는 각 분야의 국악인이 총출동하여 무대를 빛낼 예정이다.

(사)낙안읍성판소리보존회 김양남 이사장은“순천가는 형식적으로 4음보 율격의 연속체 율문으로 일종의 가창가사이며 판소리에 앞서 목을 푸는 용도로 불리던 곡으로 현재의 순천가는 오기석(1911ㅡ1963), 장송죽(1919-1997), 염금향(1932-2010) 선생들의 전승을 바탕으로 최종민 교수가 일부 편곡한 형태이다”며 “벽소의 ‘순천가’는 순천의 굴곡진 역사와 순천인의 삶을 담은 장엄한 서사시로, 순천시민 모두의 노래로 오래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획과 연출을 맡은 이준 감독은 “이 공연은 단순한 무대가 아니라 100년 전 벽소 선생의 마음과 오늘을 사는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잇는 거대한 다리로 순천의 자부심이 되는 무대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준비했으니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관람료는 R석 2만원, S석 1만원, 학생은 무료이며 순천시문화예술회관 및 티켓링크에서 예매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