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연구단체‘로컬인 서울포럼’, “서울의 미래는 로컬 크리에이터의 골목상권에 달려있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7 15:20:29
  • -
  • +
  • 인쇄
‘골목길 경제학자’ 모종린 교수 초청하여 '로컬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세미나 개최
▲ '로컬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세미나

[뉴스스텝]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로컬인 서울포럼’은 4월 5일 ‘골목길 경제학자’ 모종린 연세대 교수를 초청하여 '로컬 크리에이터 경제의 미래'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로컬인 서울포럼’은 서울의 각 동네를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펼치는 ‘로컬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고 이들이 동네에서 형성하는 상권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정책을 논의하는 서울시의원들의 연구단체다.

‘로컬인 서울포럼’의 대표의원인 이상훈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2)은 “서울의 동네, 동네마다 매력적이고 차별화된 크리에이터 상권을 활성화하려는 우리 연구단체에 가장 필요한 분을 모셨다. 모종린 교수는 국내에서 로컬브랜드 상권 연구의 독보적이고 상징적인 연구자”라며 이번 세미나의 취지를 설명했다.

모종린 교수는 로컬 크리에이터의 골목상권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지역의 미래가 달려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로컬 크리에이터는 그 동네만의 가치를 창출하는 존재이다. 그들이 형성한 상권은 로컬브랜드로써 문화적·경제적 힘을 발휘하여 지역의 경쟁력이 된다”고 설명했다.

또, “제주도에 사람이 몰리는 이유는 작은 마을마다 정체성이 녹아있는 콘텐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미래 역시, 로컬 크리에이터의 골목상권을 동네별로 다양하게 만들어낼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골목상권을 발굴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이 이어졌다. 예를 들어, 북한산 초입에 자리한 우이동에는 캠핑·등산 장비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은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여 동네 정체성에 기반한 로컬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 모 교수의 해법이다.

결론적으로 “크리에이터가 모이는 로컬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네를 면밀히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는 광역자치단체 단위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일이다. 행정동 단위에서 로컬 크리에이터 상권을 담당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훈 의원은 “로컬브랜드 상권 활성화를 위해 공공영역에서 해야 하는 과제를 이해하는 시간이었다. 향후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안을 마련하는 등 제도 개선방안을 구체화하는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제주시, 김만덕 다함께돌봄센터, 아동 돌봄의 미래를 말하다

[뉴스스텝] 제주시는 11월 20일 거점형 김만덕 다함께돌봄센터에서 ‘공감 톡톡 신바람 시민간담회’를 개최하고, 아동 돌봄 관련 종사자·학부모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공감 톡톡 신바람 시민간담회’는 김완근 제주시장이 소상공인, 대학생, 복지 종사자 등 다양한 계층의 현장 목소리를 귀담아듣기 위해 마련된 소규모 소통의 자리다. 이번 간담회는 11월 19일 아동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아동 권익 보호와 안전한

평창군, 2025년 여성 지도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뉴스스텝] 평창군여성단체협의회는 20일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회원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평창군 여성 지도자 역량 강화 및 성인지·폭력예방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지역 여성 지도자들의 역량 향상과 성 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해 두 개의 특강으로 구성됐다.먼저, 이호선 교수(라이프디자인연구소)가 “21세기 어른의 핵심역량과 자기돌봄 기술”을 주제로 성숙한 리더의 자세와 건강한 일·생

강원도교육청, 도내 교직원 대상 우리말 바르게 쓰기 국어교육 실시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11월 21일, 11월 28일 이틀에 걸쳐 각급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2025년 우리말 바르게 쓰기, 국어교육 연수’를 실시한다. 연수는 영동권 교직원과 영서권 교직원을 대상으로 각각 21일(금)에는 강릉 교육연수원 본원, 28일(금)에는 원주 교육과학정보원에서 진행된다. 연수 내용은 △강원대학교 한국어문화원 전문강사의 ‘공문서 작성법 및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