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시건축전시관, 공공건축 탄생 보여주는 `프로젝트 서울` 전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0 14:40:03
  • -
  • +
  • 인쇄
4월 11일~6월 4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공공건축의 탄생과정' 전시
▲ '프로젝트 서울'을 통해 준공된 공공건축물-서울공예박물관

[뉴스스텝] 우리 동네 관공서에서 문화․체육시설까지, 일상 가까운 곳에 자리하며 시민 편의시설 등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공공건축'의 탄생과정을 살펴보는 전시가 열린다.

서울시는 4월 11일~6월 4일 서울도시건축전시관 비움홀과 갤러리3에서 '프로젝트 서울, 서울형 공공건축의 탄생' 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서울시 주택정책실(건축기획과)과 미래공간기획관(도시공간기획담당관)의 부서 간 협업으로 진행됐다.

'프로젝트 서울, 서울형 공공건축의 탄생'은 '가격 경쟁'에서 '디자인 경쟁'으로, '대면 심사'에서 '디지털 심사'로 변화해 온 서울형 설계공모 플랫폼 '프로젝트 서울'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지만 무심코 지나치기도 했던 공공건축이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지를 보여주는 전시다.

전시는 ▴'프로젝트 서울'에 대한 소개 ▴2016~2019년 설계공모로 당선돼 준공된 작품 소개 ▴2020~2022년 디지털 심사로 진행된 설계공모 과정 및 당선작 소개 등 크게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프로젝트 서울'을 통해 준공된 서울공예박물관, 대방동 지하벙커 청소년 창의혁신 체험공간 등은 현재 시민에게 개방되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시설로, 전시를 관람한 뒤에 직접 찾아가 볼 수도 있어 더욱 생생한 감동을 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젝트 서울, 서울형 공공건축의 탄생'은 화~일요일 10:00 ~18:00(입장마감 17:30, 월요일 휴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누리집(검색창에 '서울도시건축전시관') 확인 또는 전화 문의하면 된다.

서울시는 2016년부터 '공공건축 설계공모' 접수부터 심사까지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하는 '프로젝트 서울(PROJECT SEOUL)- 서울을 설계하자' 웹사이트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현재까지 누적방문자 수 약 4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국내․외를 아우르는 주요한 건축설계 웹사이트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설계 공모'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 시내 공공건축을 보다 친숙하게 느끼고,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지 못했던 감동을 느껴보시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을 통해 시민의 일상과 함께해 온 도시‧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다채롭게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