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 부평구육아종합지원센터 ‘읽·걷·쓰 이음 축제’ 성황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1 14:25:07
  • -
  • +
  • 인쇄
부평육아종, 부평어린이집 연합회 등과 함께 읽·걷·쓰 이음 축제’ 열어
▲ 지난 7일 부평공원에서 열린 ‘읽·걷·쓰 이음 축제’에 참여한 아이들이 ‘읽기’ 체험장에서 동화 읽기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스텝] ‘읽·걷·쓰’, 영유아도 함께해요.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부평구육아종합지원센터가 부평어린이집연합회와 공동으로 마련한 ‘읽·걷·쓰 이음 축제’에 영유아 2천여 명이 함께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7일 부평공원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127개소 어린이집 영유아와 보육교사 2천여 명, 학부모 300여 명이 참여했다.

부평구, 북부교육청이 협력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연합회가 준비한 읽기, 걷기, 쓰기 행사는 단풍으로 물들기 시작한 부평공원을 최대한 활용해 체험 지역을 나눠 진행했다.

아이들은 나무 그늘 공터에 마련해둔 종이 의자에 앉아 가을바람을 맞으며 영상과 함께 흘러나오는 이야기를 들어본다.

나무로 만든 책장과 돗자리를 이곳저곳에 마련해두고 아이들이 원하는 곳에서 보고 싶은 그림책을 마음껏 읽어볼 수 있게 했다.

나무 사이 오솔길은 아이들이 몸으로 가을을 느끼는 공간이다.

나무를 따라 친구들과 걷다 보면 어느새 도착지점이다.

걷기를 무사히 마친 모든 아이에겐 완주 메달이 선물로 주어졌다.

‘쓰기’ 체험장은 상상한 그림을 종이에 표현해보는 장소다. 아이들 몸통만 한 커다란 나비 날개 위에 나만의 색을 더했다.

읽고 걷고 쓰는 활동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아이들을 맞이했다.

오전 10시~오후 2시 4회에 걸쳐 ‘우리는 친구’ 인형극이 펼쳐졌다.

부평육아종은 ‘아동학대예방 캠페인’ 체험활동을 마련하고 어린이집이 참여한 ‘그린챌린지’공모전 출품 작품을 전시해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부평구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는 ‘식사 예정 왕이 될래요’를, 부평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른 나랏말로 인사해보기, 전통 체험하기, 전통 놀이 등을 마련했다.

여기에 부평구건강가정지원센터, 부평구노인인력개발센터, 부평구자원봉사센터, 인천시 여성단체협의회부설 가정폭력·성폭력통합상담소 등도 홍보부스를 마련하고 아이들을 맞이했다.

장성란 부평구육아종합지원센터장은 “유보통합을 앞두고 부평구, 북부교육청과 협력해 인천시교육청의 ‘읽·걷·쓰’를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아이들이 바깥에서 친구들과 함께 놀이처럼 즐긴 읽고 걷고 쓰는 경험이 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읽고 걷고 쓰는 습관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베트남 입맛에 착! 김천포도, K-Market에서 달콤한 상륙”

[뉴스스텝] 김천시는 11월 18일 베트남 하노이 K-Market 본사에서 김천 신선농산물의 해외시장 개척과 글로벌 수출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K-Market과 수출협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김천 포도 판촉 행사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수출 협약식에는 배낙호 김천시장, 고상구 K-Market 회장, 이승우 김천시의회 부의장, 김응숙 시의원, 최진호 새김천농협조합장, 김태훈 경

경상원, ‘전통시장·골목상권 매니저 교육’ 졸업식 개최…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원장 김민철)은 ‘2025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 졸업식’을 20일 성남상권활성화재단 다목적강당에서 개최했다고 전했다.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은 도내 전통시장·골목상권을 이끌 매니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으로, ‘2025년 매니저 육성·지원사업’ 일환으로 선발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날 졸업식에는 경상원 김민철 원장을 비롯해 경기

부산시의회 이복조 의원,“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활용 촉진”을 위한 조례 개정

[뉴스스텝] 부산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복조 의원은 11월 20일 제332회 정례회에서 부산시의 건설폐기물 감축과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부산광역시 순환골재 등의 활용 촉진에 관한 조례'일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이번 개정안은 순환골재와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의 의무사용 비율 확대,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우수 개인·기관에 대한 포상 근거 등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현행 순환골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