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날 맞아 서울시·주한EU·시민 북서울꿈의숲에 나무 식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2 14:20:10
  • -
  • +
  • 인쇄
주한유럽연합대표부 전나무 등 2종 20주, 시민들 배롱나무 등 4종 287주 식재 예정
▲ 식재장소 위치도

[뉴스스텝] 서울시는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4월 22일 오전 10시에 주한유럽연합(EU)대표부 대사(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와 함께 북서울꿈의숲에서 나무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시민들과 함께 하는 ‘내나무갖기’ 행사와 함께 진행되며 주한유럽연합(EU)대표부 대사를 비롯한 직원들과 나무심기를 통하여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방안을 실천하고 정원도시 서울을 만들어가기 위해 마련됐다.

지구의 날은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로 제정한 세계 기념일로 전 세계인들이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벌이고 있다. 지구의 날을 맞이하여 북서울꿈의숲 희망의 벽 인근 녹지대에 시민들과 직접 나무를 심으며 탄소저감 숲과 정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행사는 서울시와 주한유럽연합(EU)대표부 대사(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Maria Castillo Fernandez), 부대사(프레드릭 엑펠트, Fredrik Ekfeldt) 등 직원 약 20여 명이 참석하여 전나무 등 2종 20주의 나무를 심을 예정으로, 지속되는 기후 위기 속 나무심기를 통한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탄소 중립을 실현할 예정이다.

주한유럽연합(EU)대표부는 기후 변화와 관련한 폭넓은 문제에 대하여 한국과 협력해 왔으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하여 여러 정책을 실현 중이다.

더불어 (사)생명의숲과 함께 진행하는 ‘내나무갖기’는 시민 100여명이 참여해 직접 도시숲을 조성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참여형 친환경 활동으로, 북서울꿈의숲에 배롱나무 등 4종 287주의 나무를 직접 심을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나무심기는 ▴행사취지 및 나무심는 방법 안내 ▴기념촬영 ▴참가자 조별 나무 심기 순으로 진행되며, 나무 심기 후 서울시와 EU대표부 간 공원녹지 및 기후환경 관련 상호협력 콘텐츠를 긴밀하게 논의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 ZERO정원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 및 서울시의 ‘정원도시 서울’과 연계하여 공원녹지 정책을 통한 탄소저감 및 기후변화 문제 해결책을 모색하고, 견고한 협력관계를 유지해나갈 예정이다.

또한 유럽연합국 소재 공원에 서울의정원 조성 시에도 협력해나갈 계획이다.

이수연 푸른도시국장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방법은 나무를 심고 정원을 조성하는 것이다.”며, “지구의 날을 맞아 주한EU대표부, 시민들과 나무심기를 통해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방안을 실천하고 ‘정원도시 서울’을 만들어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