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청,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마감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1 13:55:50
  • -
  • +
  • 인쇄
대전 총 15,462명 접수, 전년 대비 382명 증가
▲ 대전교육청,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마감

[뉴스스텝] 대전광역시교육청은 지난 9월 6일에 마감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대전지역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지원자는 15,462명으로 전년 대비 382명(2.96%)이 증가했다. 응시 자격별로 재학생이 10,477명, 졸업생은 4,322명, 검정고시 및 기타 학력 소지자는 663명으로, 재학생은 지난해보다 379명 증가, 졸업생은 지난해보다 45명 감소, 검정고시 및 기타 학력 소지자는 지난해보다 48명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전년보다 184명 증가한 8,097명, 여학생은 198명 증가한 7,365명이 지원했다.

영역별 현황으로는 대전지역 전체 지원자 중 국어영역은 15,367명(99.4%), 수학영역은 14,734명(95.3%), 영어영역은 15,227명(98.5%), 한국사는 15,462명(100%), 탐구영역은 15,127명(97.8%),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2,014명(13.6%)이 선택했다.

국어영역 지원자 중 ‘화법과 작문’ 선택자는 10,221명(66.5%), ‘언어와 매체’ 선택자 5,146명(33.5%)보다 선택 비율이 높았으며, 수학영역의 경우 ‘확률과 통계’(6,318명, 42.9%)와 ‘기하’(623명, 4.2%)의 선택비율이 감소하고 ‘미적분’ 선택자가 276명이 증가한 7,793명으로 수학영역 지원자 중 52.9%를 차지했다.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탐구영역 7,031명(45.5%), 과학탐구영역 6,840명(44.2%), 사회·과학탐구영역 1,211명(7.8%), 직업탐구영역 45명(0.3%)으로 나타나 사회탐구영역으로의 쏠림현상이 눈에 띄었으며, 제2외국어/한문영역은 전체 지원자 중 2,104명(13.6%)이 선택하여 지난해보다 0.6% 증가했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4년 11월 14일에 시행되며, 시험 성적표는 12월 6일에 응시자에게 통지될 예정이다.

대전광역시교육청 조진형 중등교육과장은 “대전시교육청은 수험생들이 최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다.”라며, “수험생들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축산환경관리원·대상(주), 세종시 지역사회에 계란 24,705개 기부

[뉴스스텝] 세종특별자치시사회복지협의회(회장 김부유) 사회공헌센터는 16일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과 대상주식회사(대표이사 임정배)의 후원으로 ‘깨끗한 축산농장’에서 생산된 계란 24,705개 기부식을 진행했다.‘깨끗한 축산농장’은 축사 내·외부 관리, 가축분뇨의 적정처리, 가축 사육밀도 준수 등 필수기준을 충족하는 농장으로, 축산환경관리원이 평가·선정·관리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하는 인증 농장이다.기

제주테크노파크, 신성장 동력으로 헴프산업 도전

[뉴스스텝] 제주에서 의료용 대마를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연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제주TP)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주지역연합회(회장 김두철)는 오는 18일 제주어류양식수협 대회의실에서 ‘제주헴프산업 발전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이번 세미나는 헴프산업이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형 헴프산업 육성전략을 발굴하고 초광역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김완근 제주시장, 제주가치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방문

[뉴스스텝] 김완근 제주시장은 9월 16일 제주가치돌봄 서비스 제공기관인 꿈앤쿰협동조합을 방문해 사업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종사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김 시장은 조합 관계자로부터 운영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서비스 제공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했다. 이어,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도 도민들에게 꼭 필요한 돌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헌신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