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는 트롯맨’, 팀 데스매치 PART 2 & 1:1 라이벌전 음원 오늘 공개 "황영웅, 민수현 포함 총 11곡"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1 13:15:06
  • -
  • +
  • 인쇄
▲ 자료제공-쇼플레이

[뉴스스텝] 불타는 트롯맨의 팀 데스매치 PART 2 & 1:1 라이벌전 음원이 발매된다.

MBN ‘불타는 트롯맨’의 팀 데스매치 PART 2 & 1:1 라이벌전 음원이 오늘 11일 낮 12시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발매된다.

지난 10일 방송된 '불타는 트롯맨' 에서는 팀 데스매치전에서 패한 각 팀들의 대표들이 발 벗고 나서 팀의 부활을 걸고 대결을 벌인 '패자부활 구원자전', 본선 2차의 시작인 '1:1 라이벌전'이 펼쳐지며 흥미진진한 전개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

특히, 이번 회차에서는 그 어느때보다 냉정한 국민 대표단들의 판단으로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투표가 연속되며 출연진과 시청자 모두의 손에 땀을 쥐게 했다. 넘치는 긴장감과 재미를 선보이며 4회차 방송을 마친 '불타는 트롯맨'은 오늘 팀 데스매치 PART 2 & 1:1 라이벌전 음원 발매를 통해 뜨거운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패자부활 구원자전에서 각 팀의 대표로 출격하여 대결을 펼친 전국구보이즈 홍성원의 '훨훨훨'과 트롯본색 한강의 '연모' 무대는 결과 발표 당시 동일한 득점을 기록하며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결과로 모두를 놀라게 했다. 결국 다시 진행된 국민대표단의 빅매치 재투표를 통해 한강이 최종구원을 받으며 트롯본색 팀원 전체가 본선 2차 진출에 성공했다.

본선 2차의 시작을 알리는 1 대 1 라이벌전에서 황영웅은 '빈지게', 민수현은 '사내'를 선곡하며 '남진vs나훈아', 전설의 트롯 라이벌 구도를 연상시키는 무대를 꾸며 호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원곡자인 설운도 대표 앞에서 펼쳐지는 '박민호 - 추억속으로'와 '이승현- 쌈바의 여인' 무대 역시 화끈한 정면승부를 선보이며 시청자들에게 진정한 라이벌전의 박진감을 선사했다.

이외에도 양말단(강설민, 무룡, 이승현, 임성현, 최정훈)의 '영일만 친구’, 86타이거즈(박규선, 신명근, 홍진영)의 '어이’, 공훈의 '돌팔매’, 손태진의 '그 겨울의 찻집’, 조주한의 '신토불이’까지 참가자들의 목소리가 담긴 총 11곡의 음원이 발매된다.

한편, 타오르는 열기로 경연에 불을 지핀 ‘불타는 트롯맨’ 팀 데스매치 PART 2 & 1:1 라이벌전 음원은 오늘 11일 낮 12시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불타는 트롯맨‘은 매주 화요일 오후 9시 40분 MBN에서 방송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