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국유림관리소, 대부료 등 산정기준 변경 추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0 12:35:45
  • -
  • +
  • 인쇄
국유림 대부료 등 최대 65배 상승 우려
▲ 충주국유림관리소

[뉴스스텝] 산림청 충주국유림관리소는 “국유림 대부·사용료 및 변상금 산정기준 변경계획”을 수립(7.26)하여 법률에 맞도록 현행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국유림법)'시행령 제21조에 따라 대부·사용료는 일반적으로 임야의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하는데, “대부료 등의 부과 당시 이용상태로 평가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감정평가액이나 인근에 있는 이용가치가 유사한 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즉, 임야를 임야가 아닌 전, 과수원 등으로 대부·사용하는 경우에는 인근에 있는 전, 과수원 등의 공시지가 등을 적용하여 대부료 등을 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충주국유림관리소는 이용가치가 임야가 아닌 대부·사용허가에도 임야 공시지가를 적용하고 있어 현행 법률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이번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유림 대부·사용료 및 변상금 산정기준 변경계획”을 수립(7.26)했다.

그 내용으로는 변경 시점(2024.01.01. 부터)과 변경 방식(가장 가까운 이용가치가 유사한 필지 공시지가) 및 예측요령이다.

혹시라도 불필요하게 대부료 등이 부과되지 않게, 희망하는 사람은 미리 포기할 수 있도록 대부·사용허가 대상자 전원에게 공문으로 안내했다.

충주국유림관리소는 이번에 대부료 등을 현행화하면서 국민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변경시점 이전 기간에 대한 정상 대부료 등과의 차액은 별도로 부과하지 않기로 했으며, 기존 대부·사용허가 기간동안은 당초 대부료 등을 유지하고, 대부·사용허가 기간 만료 시 신규 계약(간소화)하면서 대부료 등을 현행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관련 법률이 새로 개정된 것이 아니라, 기존 법률을 적용하지 못한 대부료 등을 현행화하는 것이라 공청회 등의 필수적인 절차가 없지만, 국민들의 빠른 이해와 대처를 위하여 관할구역인 5개 시군구별(충주시, 괴산군, 음성군, 증평군, 진천군)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며, 자세한 시간·장소는 아래와 같이 대상자에게 공문으로 알렸다고 했다.

충주국유림관리소 김종룡 소장은 “이제까지 대부료 등이 잘못 적용되었으면 힘들더라도 변경하고 바로 잡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