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민, 소비쿠폰 어디에 썼을까? ‘이음카드 결제액 가장 많은 곳은 외식업’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8 12:15:19
  • -
  • +
  • 인쇄
추어탕·삼계탕 등 여름철 보양 음식점 매출 多
▲ 인천 서구민, 소비쿠폰 어디에 썼을까? ‘이음카드 결제액 가장 많은 곳은 외식업’

[뉴스스텝] 인천 서구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 2주 간(7월21일~8월4일까지)의 지역사랑상품권(이하 이음카드) 소비 내역 분석결과, 소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업종은 ‘일반음식점’이라고 8일 밝혔다.

구에 따르면 이음카드 발행사인 ‘코나아이’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데이터 의뢰 결과, 지난 6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결제액은 약 174억 원이었으나 소비쿠폰 사용기간인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4일까지 결제액은 약 75% 증가한 305억여 원으로 나타났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기간인 최근 2주 업종별 결제액 1위는 ‘일반음식점’으로 약 85억3,800만 원이 결제돼, 전체 결제액의 약 28%를 차지했다.

이는 6월 같은 기간 결제액 대비 79.2.% 증가한 액수이며, 매장별로는 ‘추어탕’, ‘삼계탕’, ‘막국수’ 등 여름 계절 음식을 파는 식당의 결제액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음카드로 소비쿠폰을 받을 시 ‘배달서구’를 이용할 수 있는 점도 식당 매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일반음식점’에 이어 두 번째로 결제액이 많은 업종은 ‘소매’ 업종으로 생활용품, 식료품, 편의점 등이 포함됐다.

전체 결제액은 약 44억 원으로, 6월 같은 기간 결제액인 약 20억 원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결제액 증가율로는 컴퓨터, 핸드폰 등을 판매하는 매장이 포함된 ‘사무기기’ 업종의 변화율이 컸다.

6월 마지막 2주 동안 약 300만 원에 불과했던 이음카드 결제액은 소비쿠폰 기간 중 무려 5배가량 증가한 약 1,780만 원에 달했다.

이음카드가 결제된 서구 가맹점의 수는 소비쿠폰 기간 중 약 7%(1,208개) 늘어난 16,648개로 집계됐다.

서구 관계자는 “지난 7일 오후 6시 기준 서구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분의 38% 정도가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발행됐다”라며 “이음카드 결제액과 결제 가맹점의 수가 모두 늘어,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보탬이 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8월7일 오후 6시 기준 서구 소비쿠폰 지급률은 96.2%로 총 61만4,808명에게 쿠폰 지급이 완료됐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