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회야강에서 멸종위기 맹금류 관찰… 생태계 건강 증거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8 09:20:13
  • -
  • +
  • 인쇄
물수리 2개체 물고기(은어, 숭어) 사냥 장면
▲ 최호준 울산시 새 통신원이 사진기록

[뉴스스텝] 울산시는 지난 9월 24일, 29일, 10월 3일에 걸쳐 울주군 온산읍 회야강 일대에서 이동 중인 여름철새 맹금류들의 사냥 모습을 새통신원이 사진으로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관찰은 울주군 온양읍에 거주하는 최호준 새통신원(29세, 회사원)이 사진 자료로 남겼다.

기록된 조류는 물수리 2개체, 새매, 왕새매, 새호리기 각 1개체 등이다.

물수리는 9월 24일 울주군 온산읍 삼평들 앞 회야강에서 다 자란 암컷이 3회에 걸쳐 물고기 사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는 모습을 기록했다.

이후 9월 29일에는 같은 암컷 물수리가 은어와 숭어를 성공적으로 낚아채는 장면이 포착됐다.

10월 3일에는 암수 물수리 한 쌍이 함께 비행하며 먹이를 찾는 모습도 목격됐다.

물수리는 봄과 가을에 해안가와 하천 습지를 지나가는 나그네새로, 수면 위를 비행하다가 물고기를 발견하면 빠르게 물속으로 돌입해 사냥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머리가 흰색이고 가슴 윗부분에 갈색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9월 29일에는 왕새매가 먹이활동을 위해 모습을 드러냈으며, 10월 3일에는 새매가 까마귀 두 마리에게 쫓기는 장면이 관찰됐다.

까마귀와의 싸움에서 새매는 물러났으며, 이후 새호리기 1개체가 상공을 배회하는 모습이 목격됐다.

왕새매는 나그네새로, 주로 농경지와 구릉지에서 쥐, 개구리, 뱀, 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새매는 1982년 국가자연유산으로 지정됐으며, 물수리, 새호리기와 함께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새매는 산림에 주로 서식하며 곤충, 조류, 쥐 등을 먹이로 삼고, 날개깃이 갈라지는 특징을 가진다.

새호리기는 여름철새로, 작은 곤충과 어린 새들을 주로 먹는다.

서울대학교 최창용 교수는 “울산 하천과 해안이 맑고 물고기가 풍부하다는 증거로 이들 맹금류의 이동 및 먹이활동은 울산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이들 종이 생태계 먹이사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말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여러 종의 멸종위기 맹금류가 한 장소에서 관찰된 것은 큰 성과”라며, “지속적인 관찰과 환경 보전을 통해 이들이 다시 찾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태백시, 청년들의 타임드마켓, ‘창창루트마켓’ 개최

[뉴스스텝] 태백시는 예비 창업 청년들의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철암연립상가에서 '청년들의 타임드마켓, 창창루트마켓'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시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창업 아이템을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창업 지원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마켓은 디저트 존(스콘·사과잼·카페 디저트

고향사랑기부제, 연말맞이 전원증정 답례품 증량 이벤트

[뉴스스텝] 영월군은 연말을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기부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연말맞이 전원 증정 답례품 증량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영월군에 고향사랑기부를 하고 받는 답례품으로 영월군의 대표 답례품인 솜씨가 김치(5kg)를 주문하면 1kg를 추가 증정하고, 한우 불고기(600g)를 주문하면 불고기 양념을 추가 증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참여 방법은 11월 17일부터 12월 31일 연말까

상주시, 2026년 1월 1일 기준 토지특성조사 실시

[뉴스스텝] 상주시는 2026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산정을 위해 11월 19일부터 내년 1월 16일까지 토지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이번 조사는 2026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된다. 시는 조사 기간 동안 관내 모든 필지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 현황, 도로접면, 지목 및 형상 등 토지 특성을 확인할 계획이다.이번 특성 조사를 바탕으로 비교표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