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군, 내륙의 바다 파로호 토종어류 대량 방류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8 09:15:09
  • -
  • +
  • 인쇄
올해 토종어류 7종, 치어 총 97만여 마리 방류 계획
▲ 화천군, 내륙의 바다 파로호 토종어류 대량 방류

[뉴스스텝] ‘내륙의 바다’파로호에 토종어류 치어가 대량으로 방류된다.

화천군은 오는 29일 오후 2시 간동면 구만리 파로호 선착장 일대에서 쏘가리와 붕어 치어 19만1,000여 마리를 방류한다.

방류행사에는 지역 기관단체장과 인근 초등학생 등 40여 명이 함께 할 예정이다.

이번에 방류하는 쏘가리와 붕어 치어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전염병 검사 결과 바이러스성 패혈증 등이 검출되지 않은 우량 종자다.

군은 이번 방류행사를 포함해 연말까지 내수면 향토어종 치어 약 97만 마리를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

화천군은 지난 2005년부터 올해까지 파로호와 춘천호 등에 쏘가리와 붕어, 잉어, 동자개, 대농갱이, 참게, 다슬기 등 토종어류와 갑각류 등을 지속적으로 방류해왔다.

지금까지 방류된 치어만 1,500만 마리가 넘는다.

뿐만 아니라 파로호 곳곳에 수중 산란장 조성 등 어족자원 회복을 위한 정성을 쏟고 있다.

이를 통해 내수면 자원을 증식하고, 한때 국내 최고의 대물 터로 손꼽히던 파로호의 명성을 되찾아 지역경제에 활기를 불어 넣겠다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1970년대 파로호는 서울 마장동 등지에서 낚시꾼을 태워 나르던 전세버스만 하루 수십 대가 오갈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월척급 잉어, 붕어, 향어는 물론 대형 뱀장어 등이 출몰해 낚싯꾼들 사이에서는 필수 방문코스로 거론되곤 했다.

하지만 평화의 댐 공사와 남획 등으로 어족자원이 급감하며 파로호의 전성기도 서서히 저물어 갔다.

이현석 군축산과장은 “매년 이어오고 있는 치어 방류로 내수면 어족자원이 점차 회복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양한 토종 우량종자를 지속 방류해 생태계 회복은 물론 어업인 소득 증진, 방문객 증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활성화 요구 “홍보·체험 확대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는 12윌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평택항만공사와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산림환경연구소를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이날 감사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경영평가 및 인력운영, 해양안전체험관 운영 등 공사 추진 사업 전반과 산림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등 기후환경에너지국(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주요 업무를 중심으

경기도의회 정하용 의원, “경상원 성과평가 하락·직장내 괴롭힘·정산 부실” 강력 비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12일에 열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각 기관의 부실한 사업관리에 대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정하용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2025년(2024년 실적) 경영평가에서 전년도 ‘다’등급에서 ‘라’등급으로 하락했고, 조직운영, 재무관리, 환경, 안전 등 주요지표가 모두

경기도의회 이오수 의원, “덩굴류 확산 방치 안돼...생태계 보호 위한 통합 대응 시급”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이오수 의원(국민의힘, 수원9)은 12일 열린 산림녹지과 및 산림환경연구소 행정사무감사에서, 생태계 교란종인 칡, 가시박, 환삼덩굴 등 덩굴류 확산에 대한 시급성을 지적하며, 도 차원의 표준화된 대응 전략 마련과 실효성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했다.이 의원은 “덩굴류는 도로변, 생활권 산림, 농경지까지 침투해 생태계 교란과 경관 훼손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현재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