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아름다운 동행'…보행 약자 위한 경사로 설치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1-30 09:05:18
  • -
  • +
  • 인쇄
장애인 이동권 보장 위해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 안전한 경사로 조성
▲ 지난해 7월 마포구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개최한 휠피 바자회에 참석해 주민과 인사를 나누는 박강수 구청장

[뉴스스텝] 마포구가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에 조성하던 경사로가 올해 1월 8일부터 개통돼 보행 약자에게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은 2018년 5월 현재 위치인 성산로4길 35로 이전되면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복지관 진입을 위해 휠체어 리프트를 사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휠체어 리프트의 작동 어려움과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보행 대체 수단에 대한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마포구는 지난해 7월 18일 구청장 직속의 장애인상생위원회 회의를 열고 안전한 보행을 위한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 경사로 설치의 건을 안건으로 상정했다.

장애인상생위원회 위원들은 안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 현장을 방문해 계획에 따른 경사로 폭 확대, 방향 전환, 기울기 조정 등을 세심히 확인하고 논의했다.

위원회에서 장애인의 편의를 위해 경사로를 설치해야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지자 마포구는 지난해 12월 4일부터 경사로 공사를 추진하고 올해 1월 8일부터 통행을 시작했다.

휠체어를 이용해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을 방문한 한 구민은 “마포중앙도서관 방향에서 복지관으로 가는 길이 좁고 불편해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기 어려웠다”라며 “경사로가 생기면서 다른 길로 돌아가지 않고 손쉽게 복지관에 방문할 수 있어 기쁘고 경사로를 설치해준 마포구에 감사하다”라고 전했다.

경사로가 설치됨에 따라 지상 4층 650평 규모의 마포장애인종합복지관에는 더 많은 지역 장애인이 방문해 가족 지원, 직업지원, 평생교육 지원 등 각종 재활 서비스를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사람이 걸을 수 있는 모든 길에는 휠체어가 다닐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경사로를 설치하게 됐다”라며 “마포구는 장애인이 행복한 나라가 선진국이라는 생각으로 지역 내 장애인이 차별과 소외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오늘의 주인공은 나야 나! 하남시 신장2동 주민자치프로그램 발표회 개최

[뉴스스텝] 하남시 신장2동 주민자치회(회장 임강종)는 지난 17일, 신장2동 행정복지센터 2층에서 ‘2025년 주민자치프로그램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신장2동 주민자치프로그램 수강생들이 올 한해 갈고닦은 실력을 발휘하는 화합의 장으로서 행사장 입구에 서예와 캘리그래피 작품을 전시하고 실버댄스, 노래교실, 자이브, 우쿨렐레 등 총 11개 팀이 열정적인 공연을 선보였다. 또한 고고장구, 안가

하남 미사강변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 지역 내 어르신들을 위해 겨울맞이 '따뜻한 차 나눔' 실천

[뉴스스텝]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은 11월 1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미사강변 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의 후원으로 복지관 내 ‘나눔카페’에서 지역 어르신들에게 커피, 전통차, 허브티 등 따뜻한 음료 400잔을 무료로 제공했다. 미사강변 13단지 화물차·학원차 연합은 학원차와 화물차 등 지역 운수업 종사자들로 이루어진 자발적 네트워크로, 주민으로서 지역 어르신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을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 청년 1인 가구 동네친구 만들기! 2025년‘미소다(미사소셜다이닝)’성료

[뉴스스텝] 지난 11일, 하남시미사강변종합사회복지관(관장 조혜연)에서 진행한 청년 1인가구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 ‘미소다(미사 소셜 다이닝)’가 16번의 소중한 인연을 선물하는 것으로 올해의 사업이 마무리됐다. ‘미소다’는 하남시 관내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으로, 함께 요리하고 식사하며 이웃과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남시의 지원을 통해 2023년부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