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난해보다 성장한 2025년 청년 커뮤니티 발대식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3 08:00:20
  • -
  • +
  • 인쇄
4.3. 19:00 시청 대회의실에서 청년의 활동과 사회 참여를 활성화하는 청년 커뮤니티 발대식 개최
▲ 부산시청

[뉴스스텝] 부산시는 오늘(3일) 저녁 7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청년 커뮤니티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대식은 ‘청년 커뮤니티 활동 지원 사업’의 시작을 알리며, 이번 사업에 최종 선정된 청년 커뮤니티 50팀이 참여한다.

'청년 커뮤니티 활동 지원 사업'은 청년의 다양한 활동 기반을 조성하고 사회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통 관심사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청년들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해 청년 커뮤니티 지원 규모를 지난해 39팀 385명에서 50팀 535명으로 확대했으며, 사업비도 2억 원으로 늘렸다.

올해는 152팀이 신청해, 경쟁률 3대 1로 총 50팀이 선정됐다.

시는 지난 2월 사업 참여팀을 모집했고, 신청한 152팀 중 서면 심사와 발표 심사를 거쳐 ▲재능기부와 자원봉사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재능기부형’ 20팀 ▲지역 활성화를 위해 활동을 하는 ‘공동체형’ 5팀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문제해결형’ 5팀 ▲부산특화 활동 등 공통 관심사로 자율적인 활동을 하는 ‘자율형’ 20팀으로 총 50팀을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청년 커뮤니티들은 공동육아 개발과 공간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채로운 활동을 하는 커뮤니티들이 선정됐다.

주요 커뮤니티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귀로 듣는 연극 등 문화예술 나눔 활동을 하는 ‘극적공동체 고도, 들린다 락(樂)’ ▲보자기아트 재능기부 활동을 하는 ‘러브유얼셀프’ ▲퍼포먼스 합창단 ‘멜로다임’ ▲해양 새 활용(업사이클링) 활동을 하는 ‘쓸모’ ▲공동육아와 관련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엄청난 프로젝트’ 등이다.

특히, 올해는 커뮤니티와 청년 공간을 매칭하고, '청년 교류(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망 활성화를 추진한다.

먼저, 활동 공간이 필요한 커뮤니티와 청년 공간을 매칭해 커뮤니티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 각자의 커뮤니티 활동 외에도 청년 커뮤니티 간 교류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류(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운영해 청년들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확대를 도울 계획이다.

김귀옥 시 청년산학국장은 “이번 사업으로 청년들이 모여 함께 활동하며 그들이 가진 열정과 활기가 지역사회 곳곳에 퍼질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시는 청년들이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책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