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2024 한·아세안 패션위크, 대학패션 페스티벌'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7 08:00:14
  • -
  • +
  • 인쇄
10.1.~10.5. '그린 패션(Green Fashion)'을 주제로 벡스코와 부산패션비즈센터에서 열려
▲ 「2024 한·아세안 패션위크, 대학패션 페스티벌」

[뉴스스텝] 부산시는 오는 10월 1일부터 5일간 벡스코와 부산패션비즈센터에서 '그린 패션(Green Fashion)'이라는 주제로 '2024 한·아세안 패션위크, 대학패션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아세안 패션위크'는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의 특별행사로 시작해, 섬유패션산업의 세계(글로벌) 진출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재까지 개최돼오고 있는 패션 행사다.

올해는 섬유패션산업의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를 뜻하는 ‘그린 패션(Green Fashion)’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시가 주최하고 (사)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가 주관한다.

올해 행사는 10월 1일 오후 7시 벡스코에서 열리는 부산 융복합 축제인 '페스티벌 시월' 개막식을 시작으로, 2일부터 4일간 부산패션비즈센터에서 ▲글로벌 브랜드 패션쇼 ▲대학패션 페스티벌 ▲'부산쇼룸' 브랜드 연합 팝업스토어 ▲패션 디지털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페스티벌 시월’ 개막식에는 오프닝 패션쇼와 오케스트라 공연이 예정돼 있다.

‘글로벌 브랜드 패션쇼’는 국내 11개 브랜드 디자이너와 아세안 연합국* 중 4국(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루나이)의 브랜드 디자이너가 참가한다.

한국과 아세안 디자이너 패션쇼에는 ▲백진주 디자이너(스튜디오 디 빼를라) ▲이성동 디자이너(얼킨) ▲최복호 디자이너(CHOIBOKO) ▲박린준 디자이너(페일터 콰이즈) ▲하소정 디자이너(디세미콜론*13프로젝트) ▲김미지 디자이너(미지미지13프로젝트) ▲전유하 디자이너(플라스미드*13프로젝트) ▲이효원 디자이너(일로제) ▲이화숙 디자이너(펄 바이 애니) ▲백주희 디자이너(리온베) ▲이영희 디자이너(이영희 프리젠트)와 아세안 5명의 디자이너 등 총 16개 브랜드가 참가해 부산을 패션으로 물들인다.

‘대학패션 페스티벌’에는 9개 대학(경성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국립부경대, 부산대, 신라대, 영산대)이 참가하며, 오프닝 패션쇼에는 경상국립대와 울산대학이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한편, 패션쇼에 참가한 브랜드의 작품은 팝업스토어인 신세계백화점 센텀점에서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5일간 구매할 수 있다.

박동석 시 첨단산업국장은 “부산과 아세안 연합국 간의 패션문화를 바탕으로 한 발전적인 교류로 내년에는 '부산패션위크'를 통해 더욱 수준 높은 패션쇼와 부산쇼룸 팝업스토어를 선보이겠다”라며, “또한 세계적(글로벌) 수주상담 매칭 코너를 신설해 국내 패션디자이너들의 세계적(글로벌) 도약을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립도서관, 기후위기에서 기후회복으로 인문학 특강 개최

[뉴스스텝] 속초시립도서관은 오는 9월 18일 오후 7시 도서관 시청각실에서 시민 40여 명을 대상으로 인문학 특강 ‘기후위기에서 기후회복으로’를 진행한다. 이번 특강은 ‘2025 사시사철 인문학’ 시리즈의 네 번째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강연자는 대기과학자이자 경희사이버대학교 기후변화 특임교수로 활동 중인 조천호 교수다. 조 교수는 이번 강의를 통해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 문제로만 보지 않고, 인류 공동체

칠곡군의회 오용만 의원,약물 오·남용 예방과 자극적 상품명 개선으로 군민 건강 보호 촉구

[뉴스스텝] 칠곡군의회 오용만 의원은 군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칠곡군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예방활동과 마약류 상품명 사용문화 개선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오 의원은 “최근 청소년층을 넘어 노인층에서도 의약품 남용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마약류 상품명이 자극적으로 사용되어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우려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

오경훈 진주시의원, 자치법규 다듬고 읍면동위원회에 힘 싣는다. “모두가 누리는 무장애도시 진주”

[뉴스스텝] 진주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가 전부개정되면서 적용대상 개별시설의 범위가 확대되고, 시와 읍면동의 무장애도시추진위원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오경훈 진주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부개정조례안이 제268회 진주시의회 임시회 경제복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16일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최종 가결되면, 공원, 공공건물, 공중이용시설, 공동주택 외에도 통신시설과 그밖에 편의시설 설치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