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강원도 통합‘2022 강원일자리박람회’9월 개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6 07:45:11
  • -
  • +
  • 인쇄
도 주최, 36개 일자리 관련 공공기관 및 지자체 공동 주관 “최대 규모”
▲ 2022강원일자리박람회 포스터

[뉴스스텝] 광역 도단위 통합 일자리 축제인 ‘2022 강원일자리박람회’가 오는 9월 14일부터 28일까지 15일간 메타버스 등 온라인과 권역별 4개 오프라인 행사장에서 개최된다.

특히 강원도가 주최하고 기업 및 구직자 대상 일자리 업무를 수행하는 16개 공공기관 및 대학, 그리고 시·군 등 모두 37개 기관이 참여하고 2개 금융기관까지 후원에 나서 ‘광역 단위 최대 일자리 행사’의 위상을 갖추게 됐다.

‘2022 강원일자리박람회’는 일자리 전문 플랫폼인 ‘강원일자리정보망’을 통해 3주간 상시 온라인 구인·구직 채용시장을 운영한다.

9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은 강원대, 한림대, 강릉원주대, 연세대, 한라대, 가톨릭관동대 등 6개 대학 재학생 및 지역 청년이 참여하는 첫 대학연합‘메타버스 박람회’가 진행된다.

또 횡성 국민체육센터(9/14), 강릉 아이스아레나(9/19), 춘천 춘천농협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9/23), 원주 국민체육센터(9/28) 등 4곳에서 오프라인 박람회가 연이어 개최된다.

특히 대학 연합 메타버스 박람회 개막식(9/15)에서는 6대 대학에서 예선을 거친 인재들의 라이브 PR 공개 취업오디션 ‘SHOW ME THE 내일(job)’이 열려, 우수 인재에 대한 인사담당자의 현장 평가와 함께 상금도 전달된다.

기업 150개 사, 구직자 20,000명 참여를 목표로 오픈될 이번 ‘2022 강원일자리박람회’에는 도내 대학생 및 졸업자, 특성화고교 및 폴리텍대학 재학생, 전역 예정 장병 등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참가 기업은 도내에 본사 또는 지사가 소재한 기업 및 기관으로, 8월 말까지 강원일자리정보망을 통해 기업회원 가입을 하고 참가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제출 방법은 이메일, 팩스, 구글폼 온라인 제출 등을 통해 가능하다.

박광용 강원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는 “2회째를 맞는 통합 2022 강원일자리박람회는 참가기관 규모와 예산이 모두 확대되고, 프로그램도 더욱 다양하게 선보일 예정”며 “매년 9월은 ‘강원도 일자리 주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 많은 도민이 일자리 참여를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동구청년센터, ‘청년 강사 재부팅 데이(DAY), 힐링 온(O

[뉴스스텝] 울산 동구청년센터(센터장 박인경)는 11월 19일 오후 3시 청년노동자공유주택 1층 청년 공유공간 ‘청뜨락’에서 ‘청년 강사 재부팅 DAY, 힐링 ON’이라는 타이틀로 청년 강사 네트워킹 모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동구청년센터에서 강사로 활동해 온 청년 강사들이 참여하여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먼저 ‘차부엌’ 이나경 대표와 함께 차담회 형식으로 청년 강사의 고충을 들어보는 시간이

거제시보건소, 청소년 흡연예방 위한 거리 캠페인 실시

[뉴스스텝] 거제시보건소는 금연구역 합동점검 기간 중인 18일 오후 5시경 고현터미널과 엠파크 거리 등 고현동 일대에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거리 캠페인을 1시간 동안 실시했다.이번 캠페인은 청소년들의 호기심 흡연을 예방하고, 또래 집단내 비흡연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학생들의 하교 시간대에 맞춰 진행됐다. 거제교육지원청, 거제경찰서, 거제자율방범대 등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협력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의 이해’특강 개최

[뉴스스텝] 울산 동구 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지역 주민 및 창업 관심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사업 창업 이해’ 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총 20여 명이 참여해 사회 서비스 분야의 최신 흐름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특강은 고령화·맞벌이 확대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사회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민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