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평창평화포럼’ 뉴욕 필하모닉의 평화 선율과 함께 성대한 개막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2-22 15:17:34
  • -
  • +
  • 인쇄
뉴욕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 2008년 평양 공연 감동 재연
▲ 강원도청
[뉴스스텝]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평화 정신을 계승하고 세계 평화를 논의하는 ‘2022 평창평화포럼’이 오늘 개회식을 시작으로 3일간의 평화 여정을 시작했다.

개회식에는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을 비롯해 아트 린슬리 미국 인터강원협력네트워크 의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박병석 국회의장,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손혁상 코이카 이사장 등 전 세계 지도자급 인사와 평화전문가가 참석해 평화의 의미를 되새겼다.

공동위원장인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평창평화포럼에 참석하는 200여명의 연사와 참가자간의 평화적 논의를 이어나갈 것이며 20세기 전쟁의 유산을 아직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남북상황 한 가운데에서 전세계 평화를 꿈꾸며 함께 한마음으로 이어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동위원장인 손혁상 코이카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평화공존의 논의는 동력을 잃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평창평화포럼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활동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및 국제기구 관계자와의 적극적인 논의와 협력을 통해 창의적인 해법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홍 공동위원장과 아트 린슬리 공동위원장, 이인영 통일부 장관 그리고 안토니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온라인 환영사 및 축사를 통해 2022 평창평화포럼 개회식에 함께했으며 박병석 국회의장은 개회식 현장에 참석해 축사를 진행했다.

특히 2008년 평양에서 공연을 했던 뉴욕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과 미쉘 킴과 북한 대표 현악기인 옥류금, 우리나라 대표 현악기인 해금과의 협주로 개회식 축하 공연을 펼쳐 평화의 선율로 개회식장을 가득 채우며 의미와 감동을 더했다.

이번 개회식에서는 수석 연주자로 구성된 뉴욕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이 슈베르트의 ‘단악장 현악 4중주 12번 다단조, D.703’와 아리랑 환상곡을, 미쉘 킴이 ‘Imagine 변주곡’과 ‘Sorrow and Grace’을 연주했다.

2008 평양공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22 평창평화포럼으로 이어지는 평화의 발걸음이 아름다운 화음으로 개회식 그랜드볼룸의 분위기를 가득 채웠다.

또한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차석 바이올리니스트 미쉘 킴과 국악인 김하현, 강은일이 ‘아리랑 환상곡’을 합주하며 화합의 순간과 남북평화를 염원했다.

뉴욕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의 특별 공연은 둘째 날인 23일에도 계속된다.

뉴욕 필하모닉 스트링 콰르텟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프랭크 후왕, 오케스트라의 부악장이자 제2 바이올린 수석 치엔치엔 리, 비올라 수석 신시아 펠프스 그리고 첼로 수석 카터 브레이로 구성된 사중주단이다.

세계 정상급 교향악단에서 오랫동안 함께 호흡한 베테랑 연주자들로 이번 공연에서는 모차르트의 ‘현악 4중주 19번 다장조, K.465 ‘불협화음’’, 베토벤의 ‘현악 4중주 11번 바단조 OP.95 ‘세리오소’’를 연주하며 혼란스럽고 불안한 현시대를 위로하고 평화를 기원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부터 특별세션, 파트너세션, 청년/MZ세션, 스포츠세션 등 다양한 세션이 열리며 포럼의 본격적인 세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포럼의 특별의제인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를 통한 평화 협력’세션은 22일과 24일 두 차례에 걸쳐 열린다.

22일에는 박상철 경기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의 남북 강원도 공동개최가 가져올 기대효과와 남북 평화증진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했다.

24일에는 스포츠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 증진을 위한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방안을 모색한다.

2022 평창평화포럼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 개최는 물론 첨단 ICT 기술을 활용, 최적화된 온라인 포럼의 장을 구현하고 있다.

일부 세션은 해외 연사들이 직접 참가하는 대신 평창평화포럼의 각 세션의 시간에 맞춰 연설 및 자국에서 실시간 화상회의로 참여하며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또한 인간과 생태의 평화적 공존을 상징하는 국제 평화지대인 ‘메타 DMZ 평화지대’를 세계 최초로 구축, 메타 DMZ 평화지대’를 통해 주요 세션은 물론 평창평화포럼 유스피스챌린지 시상식을 진행한다.

알펜시아 컨벤션센터 2층 행사장에 메타 DMZ 평화지대 체험 공간을 구성해 현장 참가자도 가상공간의 2022 평창평화포럼을 즐길 수 있다.

한편 강원도와 평창군, 평창평화포럼 사무국은 오미크론으로 가속화된 코로나 팬데믹 상황 속에서 포럼을 안전하게 치르기 위해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백신 접종을 완료한 참가자는 현장에서 포럼 참여가 가능하며 행사장 내부 소독 강화, 세션장 내 참가인원 제한과 거리두기 자리배치, 참가자 전원에 대한 사전 등록 의무화 등 체계적이고 촘촘한 방역을 펼치고 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며 평화를 구현하는 방안이 논의될 수 있도록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했다”며 “이번 포럼에서는 경제, 스포츠, DMZ평화지대, UN SDGs, 평화공공외교 5가지 핵심의제와 함께 ‘2024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를 통한 평화 협력’이라는 특별 주제로 스포츠를 통한 지속 가능한 평화를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충남도, 중 광둥성 대표단 첨단 산업 현장 방문

[뉴스스텝] 충남도는 26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2025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 및 제10회 환황해 포럼’에 참석한 중국 광둥성 대표단이 도내 첨단 산업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환황해 포럼은 환황해권 국가·지역 간 협력과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국제 회의로, 10회를 맞은 올해에는 베이밸리 국제심포지엄과 함께 개최했다.이날 주융후이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을 비롯한 광둥성 대표단은 포럼 참석 이

충남도, “해미읍성, 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든다”

[뉴스스텝] 충남도의 대표적인 역사·문화 축제 ‘서산 해미읍성 축제’가 막을 올렸다.김태흠 지사는 26일 해미읍성 일원에서 열린 ‘제22회 서산 해미읍성 축제’ 개막식에 참석해 방문객을 환영하고 축제 개최를 축하했다.해미읍성 축제는 600여 년 역사를 간직한 해미읍성을 배경으로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해 선보이는 도 대표 가을 축제다.올해는 ‘고성방가(古城放佳)’를 주제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전시가

‘제2회 음성명작 요리경연대회’ 개최...지역농산물 우수성 널리 알려

[뉴스스텝] 음성군은 26일 금왕읍 금빛근린공원 주무대에서 명작페스티벌과 연계한 ‘제2회 음성군 명작요리경연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대회는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지정공모 사업(출연기업: 한국동서발전㈜)에 선정돼 ‘명작의 음성이 들려’라는 주제로 열렸다.음성군 농산물을 활용한 다채로운 레시피를 발굴하고 보급함으로써 지역농산물 브랜드 ‘음성명작’의 가치를 높이고, 우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