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텝]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은 중부내륙선 이천~충주 철도건설 사업의 공사가 완공됨에 따라 오는 12월 30일 개통식을 하고 이튿날인 12월 31일부터 영업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개통식은 12월 30일 오후 2시 충주역 광장에서 개최됐으며 코로나19 정부 방역지침을 고려해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지자체 등 최소 인원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에 개통하는 이천~충주 구간은 이천~문경 간 총 93.2km 단선철도 건설 구간 중 54.0km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총 사업비 1조 2,143억원을 투입해 수도권인 경기도 이천시에서 여주시·충청북도 음성군을 경유해 충주시까지 연결됐다.
중부내륙선 이천~충주 철도구간은 수도권과 중부내륙을 이어 거제까지 이어지는 중앙간선축의 일부로서 고속열차 서비스 제공 , 친환경 고속열차인 KTX-이음열차 운행, 4세대 무선통신망 LTE-R 설치 등 철도를 통한 한국판 뉴딜 실현을 뒷받침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동안 이천시와 충주시는 경기·충북 지역의 주요 거점으로서 발달된 도로교통망에도 불구하고 양 지역을 잇는 철도가 없었으며 특히 버스로 이동할 때에는 환승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번 개통을 통해 양 지역이 고속열차로 직접 연결됨으로써 획기적인 이동시간 단축을 통해 이천, 여주, 음성, 충주지역을 30분 이내 단일 생활권역으로 재구성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중부내륙철도는 수서~이천~충주~문경~김천~거제를 잇는 내륙 중앙 간선 축 계획노선으로 ’23년에 충주~문경 철도 구간이 개통되고 현재 추진 중인 수서~광주, 문경~김천, 남부내륙철도 사업이 마무리되면, ’27년에는 수서에서 거제까지 하나의 노선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번 이천~충주 구간에는 3개의 역사가 신설됐으며 각 역사는 지역의 대표 상징물을 형상화해 철도역사가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지역을 대표하는 철도역사의 신축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역세권개발사업을 본격 추진중에 있어, 역세권 개발까지 완료되면 자연경관이 뛰어난 중부내륙지역에 수도권발 유동인구가 증가되고 지역경제가 크게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부내륙선 이천~충주 구간에는 중앙선에 이어 두 번째로 저탄소·친환경 고속열차인 ‘KTX-이음’을 투입하며 최대 230km/h 까지 열차가 운행하게 된다.
KTX-이음 열차는 국내 최초의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로 CO2 배출량이 승용차의 15%, 디젤열차의 70% 수준이며 전력소비량은 기존 KTX 대비 79% 수준인 저탄소·친환경 고속열차이다.
또한, 이번 개통구간은 약 50%의 구간을 교량과 터널로 건설함으로써 급곡선을 최소화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중부내륙지역을 친환경적으로 연결했다.
아울러 사회기반시설 디지털화를 위해 LTE 기반의 4세대 무선통신망인 LTE-R 등 첨단 철도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빠른 운행 속도에도 열차가 보다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했다.
국토교통부 노형욱 장관은 “이번 개통은 중부내륙지역 철도의 끝이 아닌 시작으로서 충주~문경 구간도 현재 본격 공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 방향으로는 강남, 남쪽으로는 거제까지 내륙지역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2027년까지 남북 종단관통 노선인 내륙축이 모두 완성되면, 중부내륙지역은 KTX-이음열차로 연결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교통의 요충지로 거듭날 것이며 내륙지역의 성장을 토대로 대한민국이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