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무, '요똥' 탈출하나? 직접 만들어 먹는 초복 보양식 '무스키아' 예술혼 곁들인 요리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2-07-15 17:10:00
  • -
  • +
  • 인쇄
전현무, 멈출 줄 모르는 '서서 먹방' 예고···6국자 드링킹 X 즉석밥까지 말았다
▲ <사진제공> MBC ‘나 혼자 산다’

[뉴스스텝] '나 혼자 산다' 전현무의 ‘트민남’ 본능이 또 일을 벌였다.

직접 초복 요리에 도전, 시식도 미룬 채 인증샷부터 찍게 만드는 힙하고 트렌디한 ‘무무표’ 보양식이 예고돼 궁금증을 자극한다.

오늘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MBC ‘나 혼자 산다’에서는 전현무의 트렌디한 초복 요리가 공개된다.

‘트민남’ 전현무가 요리까지 손을 뻗쳤다.

그간 ‘요똥’으로 이름을 날린 그가 초복을 맞아 직접 보양식 만들기에 나서 호기심을 자극한다.

보양식 메뉴 선택에 있어서도 제1의 조건은 역시 ‘트렌드’였다는 후문이다.

그가 선택한 것은 핫플레이스에서도 툭하면 솔드아웃되는 메뉴로 압도적인 비주얼을 예고해 기대를 높인다.

전현무의 초복 목표는 건강도, 기력 보충도 아닌 SNS 팔로워들의 ‘좋아요’로 알려져 폭소를 유발한다.

난장판이 된 부엌에서 포착된 그는 SNS를 뒤흔들겠다는 포부를 담아 인증샷을 찍으며 업로드와 동시에 관심이 쏟아질 것이라는 꿈에 부풀어 있어 웃음을 자아낸다.

식재료 역시 ‘트렌드’ 그 자체로 이름과 모양마저 생소한 채소들을 한데 모아 마치 곰국이라도 끓이는 듯 보여 호기심을 자극한다.

간만 보겠다고 다짐하던 전현무는 6번이나 국자 가득 육수를 들이키는 것도 모자라 즉석밥까지 말아먹으며 보양식이 완성되기도 전에 전채 요리를 즐겼다고 해 폭소를 유발한다.

이날 ‘무스키아’의 작업 과정이 마침내 공개될 예정이다.

트렌드를 좇기 위해서라면 단 1분도 허투루 쓰지 않는 ‘트민남’ 답게 보양식을 팔팔 끓이는 시간 동안 그림에 푹 빠져들었다고 한다.

과연 그에게 새로운 영감을 가져다준 정체는 무엇일지 궁금증을 치솟게 한다.

전현무는 공들인 보양식이 완성되자마자 시식도 뒤로한 채 인증샷 세팅부터 나서 폭소를 자아낸다.

‘좋아요 5만 개’ 기원을 담은 SNS 업로드가 끝난 후에야 식사를 시작한 가운데, 코드 쿤스트의 ‘무든 램지’를 시작으로 댓글과 좋아요가 폭주했다고 알려져 ‘트민남’이 이번 초복의 트렌드를 리드할 수 있을지 궁금증을 치솟게 한다.

전현무의 ‘좋아요 5만 개 기원’ 초복 요리는 오늘 밤 11시 10분 방송되는 ‘나 혼자 산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속초시, 고위직이 먼저 바꾼다! 성평등 조직문화 확산 앞장

[뉴스스텝] 속초시는 11월 10일 시청 신관 대회의실에서 이병선 시장을 비롯한 5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44명을 대상으로 ‘4대 폭력 예방 및 도란도란 토론으로 키우는 성인지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등 4대 폭력 예방을 위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토론과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속초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사회의 성인지 감수

이천시 관고동,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 운영

[뉴스스텝] 이천시 관고동 주민자치회는 전국민 인공지능(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 학습센터 강사, 주민자치위원 등 14명을 대상으로 챗지피티(Chat GPT) 2급 자격 과정을 11월부터 매주 토요일 총 4회 운영한다고 밝혔다.관고동 주민자치학습센터는 지난 8월 행안부에서 발표한 전국민 인공지능(AI) 전사화 초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전국민 인공지능(AI) 교육 전면 시행에 앞서 인공지능(A

경상남도의회, 직업교육 취업률 급락·이주배경학생 지원확대… “학생 중심 정책 전환” 촉구

[뉴스스텝]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42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기간 중 4일차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밀양교육지원청, 창원교육지원청, 창원도서관, 교육정보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의 현안과 정책 추진 실태를 점검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직업교육 취업률 하락, 체육행정의 편중 운영, 이주배경학생 지원 미비, 과밀학급, 미래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 교원 성희롱 재발 방지 등 교육현장의 주요 문제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