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한동수 의원, 공적마일리지 부실관리로 2억원 날렸다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1 20:25:15
  • -
  • +
  • 인쇄
소멸된 항공마일리지, 제주-김포 구간 편도 1,925회, 왕복 962회분
▲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이도2동을)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무출장으로 적립한 ‘공적 항공 마일리지’를 제대로 사용하거나 관리하지 않으면서, 올해 기준 2억원 상당 공적 마일리지가 이미 소멸했고, 제도개선 없이 이대로 둘 경우 2030년까지 매년 1억원 상당의 공적 마일리지가 소멸할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이도2동을)은 21일 특별자치행정국을 상대로 한 2024년도 예산안심사에서, 공적 항공마일리지 부실 관리로 인한 공적 마일리지 소멸문제 등 예산낭비에 대해 질타했다.

공무원이 공무출장으로 항공권 구매 후 적립하는 ‘공적 항공마일리지’는 인사관리시스템에 적립사항을 등록하는 엄연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산으로, 출장 등 공적으로만 활용할 수 있고 정당한 사유없이 사적 사용은 금지되고 있다.

한동수 의원이 제주특별자치도로부터 제출받은 ‘제주특별자치도 항공권 공적 마일리지 적립, 사용 및 소멸현황’에 따르면, 2008년 7월부터 지난 15년간 누적 마일리지는 대한항공 42,672,417점, 아시아나 항공 16,979,128점 등 총 59,651,545점 현금가치로는 12억원에 이른다.

제주-김포 구간 평수기 일반석 기준, 편도 항공권이 5,000마일로 구매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한항공은 편도 8,500회, 왕복 4,200회분의 항공권 구입이 가능하고, ▲아시아나 역시 편도 3,400회 왕복으로 1,700회분 항공권 구매가 가능한 규모다.

문제는 항공마일리지의 경우 소멸시효가 10년으로 올해 9월까지 소멸한 공적 마일리지(2008.7~2011.적립분까지)는 9,628,193점(대한항공 6,035,434점, 아시아나항공 3,592,759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김포 구간을 편도 1,925회, 왕복 962회 탑승이 가능한 규모로 현금가치로는 2억원이 넘는다.

또한 현재까지 공적 마일리지를 적립한 대한한공 30,696명, 아시아나항공 25,367명 공직자 중 각 5,883명, 5,181명은 이미 퇴직했으나, 퇴직과정에서 공적 마일리지 회수 등 재산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아, 공적마일리지를 퇴직자가 사적으로 사용하도록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9월 기준, 공적 마일리지 사용률은 양 항공사 전제 적립 마일리지의 16.2%에 불과해, 제도개선 없이 이대로 방치할 경우 2030년까지 3,260만 마일리지, 현금가치로는 매년 평균 1억원(9,535만원)의 공적 마일리지가 소멸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날 한동수 의원의 공적 마일리지 관리 부실에 대한 문제제기에송은미 총무과장은 “항공사와의 관계도 있고, 마일리지가 개인적으로 정립되다 보니까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하면서 “어쨌든 좋은 의견 감사하고 최대한 포인트를 어떻게 쓸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한 고민을 같이 하겠다”고 답변했다.

한동수 의원은 “상당한 수준의 공적 마일리지가 적립되어 있는 만큼 새로운 적립 및 사용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어려운 재정상황을 감안해 공적 마일리지의 적극적 활용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서 도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령군, 추석맞이 사회복지시설 위문으로 온정 나눠

[뉴스스텝] 고령군은 민족 고유의 명절 추석을 맞이하여 9월 29일 고령요양원을 찾아 시설 어르신들과 종사자들에게 위문품을 전달하고 따듯한 인사를 전했다. 이번 위문은 어르신들의 안부를 살피고,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대화를 나누는 등 지역 내 복지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고령군(군수 이남철)은“시설에 계신 어르신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지역사회가 더욱 따듯한 관심을

경산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위기대응을 위한 경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 가동

[뉴스스텝] 경산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일부 행정정보시스템이 중단됨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했다고 밝혔다.시는 홈페이지, SNS, 전광판 등을 활용해 대면 민원 처리 및 대체 사이트 이용 방법을 시민들에게 안내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한 서비스 현황을 수시로 점검해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또한, 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

대전자치경찰위, 추석 민생치안·통학로 안전망 강화 및 트램 공사 대비 교통안전대책 논의

[뉴스스텝] 대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희용)는 9월 29일 정기회의를 열고 추석 명절 특별치안대책, 통학로 안전대책,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공사 대비 교통안전대책 등 시민 안전과 직결된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먼저, 추석 특별치안대책은 연휴 기간 빈집털이, 보이스피싱, 금값 상승에 따른 금은방 절도 등 서민생활 침해 범죄에 대한 집중 단속과 함께, 귀성객이 몰리는 고속도로·전통시장 등 다중이용시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