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주권 연구본부 시범사업 4월 시작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6 20:05:16
  • -
  • +
  • 인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주권 연구본부 시범사업 운영계획 통과…3년간 90억 원 투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주권 연구본부 시범사업 운영체계(안)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주권 연구본부 설립을 위한 시범사업을 오는 4월 1일부터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최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에서 최종 승인을 받았다.

그동안 제주는 지역 내 인공지능 및 디지털 전환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전무해 연구개발(R&D) 및 다양한 인공지능(AI) 융합사업에서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돼 지역 산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조사(2023)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국가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은 최근 5년간 (2018~2022) 전국 대비 평균 약 0.64%에 불과했으며, 연구개발 인력 또한 전국 대비 0.52% 수준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제주도는 이번 시범사업이 제주를 동아시아 인공지능(AI) 혁신 허브로 성장시키는 발판이 되고, ETRI 제주권 연구본부의 정식 설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의 주요 연구 분야는 제주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전환(AX,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 기후테크’, ‘소버린 AX 관광’ 분야, 신성장 산업과 연계가 필수적인 ‘초저전력 지능형 반도체 및 인공지능 인력양성’ 분야 등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제주 현지 연구인력은 연구원 12명과 제주 소속 학연 연수생 3명으로 3년간 사업비 90억 원이 투자되며, 제주도가 50%를 부담한다. 또한 저궤도 위성과 6세대(6G) 이동통신 등 분야에서 ETRI 본원과의 협력 연구도 진행된다.

시범사업 연구공간은 첨단과학기술단지 내 제주테크노파크 미래산업센터 3층에 마련돼 도내 기업, 대학 등 지역 내 지·산·학·연과 긴밀한 협업체계를 갖추게 된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ETRI의 제주 진출로 지역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제주가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한국생활개선양평군연합회, 지역 소외 이웃에 사랑 전해

[뉴스스텝] 한국생활개선양평군연합회는 지난 22일, 회원 30여 명이 참여해 관내 12개 읍·면의 소외 어르신 140여 가구에 소불고기와 단팥빵을 만들어 전달했다.이번 봉사활동은 ‘재능활용 지역돌봄 봉사활동’의 일환으로, 초복 삼계탕 나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행사다. 회원들은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해 정겨운 인사와 함께 손수 만든 음식을 전달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박명환 회장은 “매번 봉사활동에 한

양평군 서종면 생활개선회, 가을 맞아 취약계층에 따뜻한 온기 전달

[뉴스스텝] 양평군 서종면 생활개선회는 지난 22일, 관내 취약계층 10가구를 위해 직접 조리한 불고기와 단팥빵을 서종면사무소에 전달했다. 이번 나눔은 성큼 다가온 가을을 맞아 지역 내 소외된 이웃들에게 따뜻한 온정을 전하고자 마련됐다.장옥심 서종면 생활개선회장은 “날씨가 제법 쌀쌀해진 요즘,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든든한 한 끼가 되어줄 따뜻한 불고기와 간식을 준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우리 생활개

영덕교육지원청, 2025 도전! 체력인증한마당 [함께하는 체력up! 안전up!] 개최

[뉴스스텝] 영덕교육지원청(교육장 이성호)은 2025년 10월 22일(수) 영덕문화체육센터에서 2025 도전! 체력인증 한마당[함께하는 체력up! 안전up!]을 개최했다.이번 대회는 관내 초, 중학생 100여명이 참여하여 자신의 평소 체력 성과를 뽐내는 자리였다. 대회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동안 길러온 체력을 힘껏 펼치고 다른 학생과 정정당당하게 체력 인증을 받으면서 자신의 운동 역량을 발산했다. 그리고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