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40만 8,300톤 내외 예상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5 19:40:01
  • -
  • +
  • 인쇄
전년 관측량 대비 4.2% 감소…착과량 제주시 많고 서귀포시 적어
▲ 제주도,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40만 8,300톤 내외 예상

[뉴스스텝] 제주특별자치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2024년 노지감귤 착과상황 관측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올해 제주지역 전체 생산예상량은 40만 8,300톤 내외(39만 2,300~42만 4,300톤)로 전년도 최종 관측량 42만 6,400톤보다 1만 8,100톤(약 4.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생산예상량은 현재 재배면적 1만 3,764㏊ 중 비생산 면적(성목이식, 품종갱신, 고접갱신, 1/2 간벌 등)을 제외한 1만 3,128㏊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제주시 지역은 지난해 해거리의 영향으로 착과량이 증가한 반면, 서귀포시 지역은 올해 해거리로 착과량이 감소했다.

나무 한 그루당 평균 열매 수는 878개로 전년 735개보다 143개 많았고, 최근 5년 평균 783개보다 95개 많았다.

제주시는 1,044개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00개, 413개 많았고, 서귀포시는 790개로 전년 및 평년보다 각각 175개, 169개 적었다. 지역별·나무별 착과량 편차가 컸다.

과실 크기인 횡경은 43.4㎜로 전년 44.2㎜보다 0.8㎜, 5년 평균 43.8㎜ 보다 0.4㎜ 작았다. 과실비대기인 7~8월의 강수량 부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10a당 나무 수는 73주로 전년 73.2주 보다 0.2주, 5개년 평균 74.3주보다 1.3주 적었다.

품질조사 결과 당도는 7.3브릭스로 전년에 비해 0.3브릭스, 5년 평균에 비해 0.5브릭스 높았으며, 산 함량은 3.10%로 전년에 비해 0.51%p, 5년 평균보다 0.27%p 낮았다.

7~8월에 강수량이 적고 평균기온 및 일조가 좋아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파악된다.

농업기술원은 11월 중 품질, 결점과율 등 3차 관측조사를 실시해 최종 생산예상량을 행정에 통보할 예정이다.

더불어 지역별, 나무별 착과량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과원 상황에 맞는 열매솎기, 기상경과에 따른 철저한 병해충 방제, 칼슘제 및 부패방지 약제 살포 등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홍보와 농가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김동현 농업관측팀장은 “최근 폭염과 국지성 소나기 등 이상기상에 따른 열과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며 “향후 기상변화에 따른 감귤 생육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최종 생산예상량 산출에 반영하는 등 수급조절을 위한 관측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천군의회, 주요 사업장 방문 등 제333회 임시회 의사일정 마무리....

[뉴스스텝] 서천군의회는 8일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지난 1일부터 8일간 열린 제333회 서천군의회 임시회 의사일정을 모두 마무리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홍성희 의원 외 1인이 제출한 서천군의회 의원 공무국외출장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서천군의회공인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원안 가결했다.또한 군수가 제출한 서천군 리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천군 지방공무원 여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2026년 한국

제주-일본 하늘길 확대 기대…제주 홍보 마케팅 박차

[뉴스스텝] 제주가 일본 직항노선 확대를 통한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사장 고승철)는 지난 4일 제주를 찾은 일본 후쿠오카공항 대표단과 도내 일원에서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도와 공사는 제주-후쿠오카 직항노선의 재개 필요성과 노선 활성화를 위한 양 지역 관광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후쿠오카공항 대표단은 세화 해녀마을을

제주테크노파크-경주융합회, 관광산업협력 업무협약 체결

[뉴스스텝]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제주TP) 기업지원단은 지난 5일 제주벤처마루 회의실에서 ㈔중소기업융합대구경북연합회 경주융합회와 지역경제 발전과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제주TP와 경주융합회가 공동사업을 발굴하고 지역산업 발전과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것이다. 세부 내용은 지역 중소기업 공동사업 발굴 및 육성지원, 지역기업에 대한 관광 관련 사업의 공유 및 협력활성화,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