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2기작 수박, 바이러스와 곰팡이병 주의·관리 당부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6 19:40:20
  • -
  • +
  • 인쇄
고온기 바이러스 발생 늘어, 수확기 덩굴쪼김병과 흰가루병 조심해야
▲ 충북도 2기작 수박, 바이러스와 곰팡이병 주의·관리 당부

[뉴스스텝] 충북농업기술원은 9월 2기작 수박 수확을 앞두고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와 곰팡이병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적인 관리를 당부했다.

장마 후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될 때 수박에 피해를 주기 쉬운 바이러스는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와 황화바이러스(CABYV, MABYV)가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매개 해충인 진딧물 발생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한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는 진딧물 흡즙이나 농작업 등의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잎이 물에 젖은 듯한 수침상의 병무늬가 생기고, 심해지면 줄기와 잎의 생육이 불량하며, 수박이 크지 않아 생산량을 떨어뜨린다. 황화바이러스 역시 진딧물이 매개하는데 발병하면 생육이 멈춰 상품성을 잃는다.

반면, 곰팡이 병인 덩굴쪼김병과 흰가루병은 수확기에 온도가 낮아지고 습해지면서 발생이 많아진다. 덩굴쪼김병은 줄기가 갈라지고 황화와 시듦이 유발된다. 흰가루병도 심해지면 잎이 광합성을 못하고 말라죽어 수박 수확에 악영향을 끼친다.

바이러스병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재배 전에 녹비와 짚 등의 유기물들을 토양에 충분히 넣어 땅심을 높여준다. 재배 중에는 바이러스에 걸린 수박은 바로 뽑아 격리해 버려준다. 매개충인 진딧물 방제는 약제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성분이 다른 농약으로 바꿔가며 방제한다.

곰팡이병인 덩굴쪼김병과 흰가루병은 적용 수화제로 방제한다. 흐리거나 습한 날은 반드시 하우스 문을 열어 환기해 습기를 빼주면 곰팡이병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된다.

장마기 일조 부족과 장마 이후 폭염 등의 기상 조건은 수박이 건강하게 자라지 못해 이들 병의 발생을 점점 증가시키고, 바이러스는 치료 약이 없기에 더욱 주의와 관리가 요망된다.

도 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윤건식 팀장은 “2기작 비대 이후에는 차광을 해서 고온기 과호흡으로 인한 과중 감소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병 관리 요령은 바이러스 의심 시 조기 제거와 매개충 방제, 곰팡이병은 환기와 적정 약제 살포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최경식 남원시장, 국회 방문 2026년 국가예산 반영 총력 건의

[뉴스스텝] 최경식 남원시장은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지난 13일 국회를 방문해 지역 핵심 현안사업에 대한 국비 반영을 적극 건의했다. 정부예산 확정을 위한 국회 단계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본격 가동되며 최 시장의 국회 방문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최 시장은 이날 국회를 찾아 지역구 박희승 의원을 비롯하여 조계원 의원, 김대식 의원 등 예결위 소속 위원들과 차례로 면담을 갖고 주요 사업의 필요성과

정달성‧이숙희 북구의원, ‘장애인친화도시 조성 정책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광주 북구의회 정달성 의원(용봉·매곡·삼각·일곡동/더불어민주당)이 13일 이숙희 의원과 함께 ‘장애인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이번 간담회는 북구 장애인친화도시 조성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민·관·정 차원의 공감대 형성과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간담회에는 정달성·이숙희 의원을 비롯해 오방장애인자립생활센터장, 예그리나장애인

의왕시의회, 하반기 폭력예방교육 실시

[뉴스스텝] 의왕시의회는 지난 12일 오후 의회 중회의실에서 시의원 및 의회 공직자를 대상으로‘2025년 하반기 폭력예방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양성평등기본법'과'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법정 의무교육으로 성희롱·성폭력 예방을 중심으로 진행됐다.교육은 청렴연수원 전문강사이자 지방의회연구소 초빙교수인 김성수 강사가 맡았으며,‘건강한 공직문화를 위한 상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