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통영국제음악제, 티켓 예매 58초만에 매진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3 19:10:10
  • -
  • +
  • 인쇄
‘내면으로의 여행’ 주제로 내년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 열려
▲ 2025 통영국제음악제, 티켓 예매 58초만에 매진

[뉴스스텝] 통영국제음악재단은 지난 11일 11시 ‘2025 통영국제음악제’ 티켓 예매를 시작하자마자 개막공연‘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I’과 ‘임윤찬 피아노 리사이틀’ 두 개 공연이 매진됐다고 밝혔다. ‘임윤찬 피아노 리사이틀’이 58초만에 매진되고, 바로 이어 2초 뒤‘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I’이 매진됐다.

연이어 매진된‘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Ⅱ’와‘파블로 페란데스& 선우예권’ 공연은 오는 13일 오후 2시에 좌석을 추가로 오픈한다.

통영국제음악제는 지난 11월 내년 음악제의 주제와 상주 연주자를 홈페이지와 SNS상에 공개하고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아 왔다. 일반예매에 하루 앞서 선예매 기회가 주어지는 후원회원 가입에 대한 문의가 쇄도했으나, 통영국제음악재단은 “후원회원들의 편의 제공을 위하여 후원회원 숫자를 조절하고 있다”며“올해 하반기부터 신규 후원 회원 가입을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뜨거운 예매 열기 속에서 숙박 예약과 관련된 어려움이 관객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실제로 통영국제음악당 주변 숙박업소들은 음악제로 예약 문의가 쇄도하고 예약이 마감되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2025 통영국제음악제는‘내면으로의 여행(Journey Inwards)’을 주제로 내년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열린다. 덴마크를 대표하는 현대음악 작곡가 한스 아브라함센, 스페인의 첼리스트 파블로 페란데스, 그리고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각각 상주 작곡가와 상주 연주자이다.

10일간 열리는 2025 통영국제음악제는 고음악의 거장 르네 야콥스와 B'Rock 오케스트라, 세계 최정상의 현대음악 전문 연주단체인 앙상블 앵테르콩탕포랭, 바이올리니스트 일리야 그린골츠, 김현서, 피아니스트 선우예권, 문지영, 김태형, 선율, 호르니스트 유해리, 판소리 명창 이자람, 소프라노 황수미, 조지아 자먼, 테너 마일스 뮈카넨, 바리톤 김기훈, 에벤 콰르텟, 벨체아 콰르텟, 베르비에 페스티벌 체임버 오케스트라, 일란 볼코프가 지휘하는 KBS교향악단, 대만 웨이우잉 현대음악 앙상블, 윤한결이 지휘하는 K'ARTS 신포니에타 등 세계적인 연주자와 단체들로 이루어진 총 29개의 공식 공연으로 관객을 만난다.

프로그램 관련 자세한 사항은 통영국제음악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2월 31일 오후6시까지는 조기예매 할인 30%가 적용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성기황 의원, 석면·방수·냉난방·급식실까지...학교환경 개선 현안 '산적'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성기황 의원(더불어민주당, 군포2)은 14일, 군포의왕·안양과천·광명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석면·옥상방수·냉·난방기 교체·급식실 환경 개선 등 노후화된 학교 시설의 개보수와 조리종사자분들의 작업환경 개선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성 의원은 “석면 제거 사업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으며, 2026년이면 전면 완료될 것으로

안산시의회, 연구단체 운영 심의委 위원 위촉식 개최

[뉴스스텝] 안산시의회가 14일 의장실에서 안산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운영 심의위원회 신규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이번 위촉은 ‘안산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구성 및 운영 조례’ 개정에 따라 심의위원회를 전원 민간 전문가로 재구성하기 위해 시행된 것으로, 학계와 언론계, 시민사회단체 분야에서 추천된 전문가 5명이 심의위원으로 합류했다.새로 위촉된 위원은 김만균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와 김태형 참좋은뉴스 기자, 김

경기도의회 장한별 의원, “BTL학교 관리·감독 사실상 방치”...다가오는 운영권 만료에 따른 개선 촉구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장한별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수원4)은 14일 경기도교육청 행정국, 운영지원과, 안전교육관에 대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행정국을 대상으로 BTL(Build-Transfer-Lease) 학교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을 지적하고, 학교시설 유지보수 노무 용역 계약의 개선을 촉구했다.장한별 부위원장은 현재 경기도교육청의 BTL 학교 현황과 함께 “BTL 학교의 등기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