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아름답고 푸르게~군산시 대야면 만경강 대한민국 지도공원 식목행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4-17 18:45:15
  • -
  • +
  • 인쇄
▲ 대한민국을 아름답고 푸르게~군산시 대야면 만경강 대한민국 지도공원 식목행사

[뉴스스텝] 군산시가 17일 대야면 만경강 내에 위치한 대한민국 지도공원에서 식목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식목행사는 4월 식목의 계절을 맞이하여 새창이 연꽃마당을 공원화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대야면 자생단체로 구성된 위원회 주민들, 만경강을 관리하는 군산시청 안전총괄과와 대야면사무소 직원 등 100여 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백일홍, 수국, 철쭉, 다년생 화초 등 1,000여 주의 꽃나무를 공원 주변에 식재했다.

대야면 지도공원은 군산시 대야면 들녘에 위치한 한반도 지도모양의 연꽃공원으로 만경강 새창이 다리 일원에 10여 년 전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조성된 공원이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그동안 특별한 관리 없이 갈대만 무성한 상태로 방치돼 있다가 작년 3월부터 대야면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만들자’는 뜻을 모았다. 이에 군산시가 지원을 약속하면서, 대야면과 함께 조성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실제로 군산시는 대야면 주민들과 함께 작년부터 만경강 둔치에 조성된 한반도 지형 모양의 연못에 연꽃을 식재하고, 공원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명소로 가꾸기 위해 노력해 왔다.

올해는 그 연장선상에서 연못을 ‘만경강 대한민국 지도공원’으로 명명하고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이번 식목행사를 열게 된 것이다.

군산시는 금년을 시작으로 매년 식목행사를 실시해 사계절 꽃들이 만발하는 공원이자, 걷기 좋은 힐링의 명소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군산시 관계자는 “만경강 정비사업을 통해 조성된 대한민국 지도 모형의 자원을 잘 활용하면 지역활성화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존의 산책로 등을 잘 정비하고, 조경, 편익시설 등을 보완한다면 아주 아름다운 공원으로 변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병학 새창이연꽃마당 공원화추진위원장은 “우리 주민 스스로가 힘을 모아 직접 꽃도 심고 공원을 가꾼다는 게 뿌듯하기도 하다”면서, “군산시에서 관심을 더 해준다면 새창이 연꽃마당이 정말 멋있는 공원으로 탈바꿈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매우 크다”고 소감을 전했다.

새창이연꽃마당 공원화추진위원회는 대야면 소재 9개 단체인 주민자치위원회, 이장단협의회, 발전협의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새마을부녀회, 대야로타리클럽, 동군산 새마을금고 사랑의좀도리회, 남녀의용소방대, 대야지역초중고학부모협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구리시,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동참해 대대적 환경정비

[뉴스스텝] 구리시는 추석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위급 회의(10.31.~11.01.)를 앞두고, ‘대한민국 새 단장’ 전국 캠페인의 일환으로 지난 9월 22일 관내 전역에서 특별 환경정비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이번 정비 활동은 평소 쓰레기 민원이 잦지만,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운 토막 나루길 뒷골목과 왕숙천 변 등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자원순환과 직원, 환경공무관 외곽기동반, 쓰레기

포천시, 추석 성수기 대비 농축수산물 원산지표시 특별점검

[뉴스스텝] 포천시는 추석 성수기 대비 원산지 표시 특별점검을 실시한다.특별점검은 전통시장 및 농축수산물 판매장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고사리, 도라지 조기, 명태, 선물용 갈비세트, 과일바구니, 한과류, 인삼제품, 전통식품 등 추석 선물과 제수용품을 위주로 점검을 실시한다.주요 점검사항은 원산지 표시 위반여부(거짓표시, 미표시, 표시방법 위반), 원산지 기재 영수증 또는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 생활폐기물 수거업체와 간담회 개최

[뉴스스텝]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지난 9월 22일, 매교동 관내 생활폐기물 수거업체인 대일실업 관계자 및 환경관리원과 함께 간담회를 개최했다.이번 간담회는 '대한민국 새단장' 및 '새빛환경수호자' 등 시 청소정책과 연계하여 올바른 분리배출 정착을 위한 홍보・계도 강화, 무단투기 상습지역 관리 및 대응방안, 재활용 활성화를 통한 자원순환 실현 등 현장의 애로사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