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진주시, ‘생활⦁복지’분야 대상 영예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4 18:25:20
  • -
  • +
  • 인쇄
지난해 ‘주거환경개선’ 이어 2년연속 대상 수상 쾌거
▲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진주시, ‘생활⦁복지’분야 대상 영예

[뉴스스텝] 진주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 사업이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에서 2년 연속 수상의 영광을 차지하는 등 전국적인 호평을 받고 있다.

진주시는 24일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의 도시·지역혁신대상 시상식에서 ‘생활·복지분야’ 대상(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진주시는 지난해 ‘주거환경개선’ 분야 대상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의 쾌거를 이뤘으며, 살기 좋은 도시로의 전국구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는 도시혁신 정책의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균형발전과 도시생태계 구축을 위한 우수 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해마다 열리고 있다.

올해 박람회는 ‘지역에 삶을, 도시에 숨을’이라는 표어 아래 24일부터 오는 27일까지 4일간 삼척시 정라지구 도시재생 사업지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모두 123 곳의 다양한 정부 부처와 전국 지자체, 기관, 민간기업 등이 참가해 각 단체의 도시재생사업 우수사례를 홍보하고 비전과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진주시는 박람회의 수상 프로그램인 도시·지역 혁신대상에 참가해 ‘철도문화공원 조성’이라는 제목으로 옛 진주역 일원에서 추진한 도시재생 인정사업의 주요 성과를 발표했으며, 생활환경 개선과 관련된 사업성과에 높은 평가를 받아 개막식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옛 진주역 도시재생 인정사업은 철도역사박물관, 다목적 전시문화공간, 복합문화커뮤니티 거점, 커뮤니티 레일가든 조성을 통해 쇠퇴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철도 기능이 중단돼 방치된 옛 진주역과 주변 공간을 시민들이 모이는 새로운 휴식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상하게 된 것은 진주시의 도시재생에 대한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이다”면서 “앞으로도 지역특성과 주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누구나 살고 싶은 진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진주시는 박람회 기간에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진주시 도시재생사업 현황과 성과를 전시하고 관광자원 등을 홍보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경상원, ‘경기 RE100’ 달성 위해 지역 기관과 업무협약 체결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경기 RE100’ 실현을 위해 화성나눔시민협동조합, 경기시민발전협동조합협의회와 13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경기 양평군 경상원 본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경상원 김민철 원장, 화성나눔시민협동조합 이혜연 조합장, 경기시민발전협동조합협의회 안명균 회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경기 RE100’ 목표 달성을 위한 상호 협력 사항을 중점 논의했다. ‘

“영상 능력자 모여라”…경상원, 17일부터 ‘하반기 통큰 세일’ 쇼츠 공모전 개최

[뉴스스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오는 17일부터 27일까지 총 상금 200만 원 규모의 ‘2025년 하반기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은 지역 소비 활성화를 이끌며 경상원 대표 사업으로 자리 잡은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하 통큰 세일)의 매력을 창의적이고 감각적인 영상을 통해 도민들에게 알리고자 기획됐다. 접수 기간은 오는 17일부터 27일 낮 12시까지이며 통큰 세

조용익 부천시장 “트럭 돌진 사고, 규정 넘어선 과감한 대책” 강조

[뉴스스텝] 조용익 부천시장이 13일 오전 발생한 트럭 돌진 사고와 관련해, 같은 날 오후 긴급 재난안전대책회의를 열고 “부서와 규정의 한계를 넘어 피해 시민과 시장 상인을 위한 신속·과감한 지원 대책을 추진해달라”며 전방위적인 사고 수습을 지시했다.조 시장은 사고 직후 현장을 찾아 상황을 점검하며 “부상자들의 치료에 공백이 없도록 면밀히 살펴달라”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 그 어떤 행정보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