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중기부 2024 동네상권발전소 공모 선정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1 18:21:23
  • -
  • +
  • 인쇄
상권기획자, 지자체, 상인, 주민 등 컨소시엄 구성해 추진
▲ 지난해 가을 이태원 앤틱 빈티지 페스티벌에서 진행된 통기타 거리공연

[뉴스스텝] 서울 용산구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2024년 동네상권발전소’ 사업에 선정됐다. 대상 상권은 이태원 앤틱가구거리 일대로 전국에서 선정된 13곳 중 서울에서는 이곳이 유일하다.

동네상권발전소는 상권기획자와 지자체, 상인, 주민 등 지역 구성원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행한다. 상권기획자가 제시하는 관광형 사업 모델을 토대로 상권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 전략을 발굴하는 등 상권 활성화를 꾀하게 된다.

이 사업은 상권 활성화 사업의 예비단계로 5월에서 12월까지 추진한다. 이를 통해 수립한 전략과제는 추후 상권활성화 사업 자율상권구역 연계 시 우대 지원된다.

구가 제시한 이태원 앤틱가구거리 상권은 이태원역~청화아파트~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일대 5만2천여㎡에 상점 128곳이 입점해 있다.

1960년대 인근 미군들이 귀국하며 내놓은 가구를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 그 시초다.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럽 앤틱 가구를 취급하는 전문 상점가가 주를 이루며 현재의 특색있는 골목상권을 이루게 됐다.

구 관계자는 “이태원 앤틱가구거리는 상권 브랜딩이 어느 정도 갖춰진 곳”이라며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이 뒷받침된다면 빠른 속도로 발전 가능한 상권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권기획자로는 ㈜한국시장경영원이 나섰다. 확보한 사업비 총 1억 원으로 브랜딩 강화, 지역 주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 자율상권구역 지정 준비 등을 추진해 이태원 앤틱가구거리의 활력을 회복시킬 계획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동네상권발전소가 지역 구성원이 머리를 맞대 지역 상권의 문제를 해결하고 관광특화형 상점가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태원 앤틱가구거리의 재도약과 지역 경제발전 등 주민이 체감 가능한 결과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오는 25~28일 이태원 앤틱가구거리 일대에서는 ‘앤틱&빈티지 봄 페스티벌’이 열린다. 앤틱 벼룩시장, 경매, 거리공연 등으로 꾸려 상권을 홍보할 예정이다. 상권 내 페스티벌은 매년 봄·가을 2차례 개최한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최신뉴스

경기도의회 윤충식 의원, 선착순 AI 지원은 '차별의 경기' 초래... 선심성 예산 지양해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윤충식 의원(국민의힘, 포천1)은 21일 ‘경기 청소년 AI 성장 바우처 사무의 공공기관 위탁 동의안’ 안건 심사를 통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학생 대상 AI 지원 사업의 불공정성과 실효성 부재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윤 의원은 경기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추진하려는 AI 활용 역량 강화 사업이 일부 대상에게만, 그것도 '선착순

경기도의회 박옥분 의원, 하천·계곡 지킴이 여성 지원자 86명 중 실제 선발 18명...“성인지 예산 무용지물”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은 21일 열린 2026년 본예산 심사 및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사에서 건설국과 건설본부를 대상으로 도민 생활안전 예산의 불투명한 감액, 성인지 예산 구조의 고착화, 지하안전 관리체계 부재 등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박 의원은 성인지 예산 분야와 관련해 “하천·계곡 지킴이의 여성 지원자는 86명(17.2%)이나 실제 선발은 18명(16.

경기도의회 박재용 의원, “복지예산이 경기 따라 흔들리는 ‘고무줄 예산’... 사회적 약자 기본권 침해 우려”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예산안 심의에서 2026년도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 노인·장애인 복지사업의 대규모 일몰 및 감액 문제, 추경 의존 구조, 복지예산의 불안정성을 강하게 지적하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박재용 의원은 “복지국 총 예산은 증가했지만 노인·장애인 복지예산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