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균 전남도의원, “댐 주변 및 국가하천 환경정비 시급” 범정부 차원의 대책 촉구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5 17:40:37
  • -
  • +
  • 인쇄
국가‧지방하천 관리체계 넘어, 전라남도 주도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필요
▲ 정영균 의원 댐 주변 및 하천 환경정비 촉구 건의

[뉴스스텝] 전라남도의회 정영균 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1)이 대표발의한 '댐.저수지 및 하천 유입부 환경정비 촉구 건의안'이 10월 15일 제39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해당 건의안은 전남 지역의 댐, 저수지, 하천은 단순한 물 저장 기능을 넘어 수질 보전, 홍수 예방, 생태관광자원 등 다양한 공공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댐 주변과 하천 내 수림화 현상으로 인해 쓰레기가 쌓이며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나 태풍 시, 방치된 잡목과 쓰레기가 유속을 방해하고 교량을 막아 주변 주택 및 농경지 침수, 교량 붕괴 등의 재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또한 상류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는 수질을 악화시키고, 생태계 파괴와 어류 폐사 등으로 이어져 환경적 위협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범정부 차원의 협력체계를 구성하고 정기적 환경정비를 추진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하천의 경우, 하천 관리 주체가 중앙정부로 한정되어 있어,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응이나 지속적인 정비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영균 의원은 “국가하천 역시 지방하천과 마찬가지로 방치된 쓰레기와 유목 등으로 심각한 환경오염과 재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며, “국가하천에 대한 환경정비 또한 매우 시급한 과제임을 정부가 인식하고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영균 의원은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은 댐 및 하천 관리 구간이 기후에너지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자치단체 등으로 분리되어 있어 협업체계가 부재하고, 이로 인해 행정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수문 주변과 하천 유입부의 잡목 및 쓰레기를 상시적으로 수거‧처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치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 의원은 “이번 건의안은 단순한 환경미화 차원이 아니라 도민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전남의 소중한 수자원과 생태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절박한 요청”이라며,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관리 주체를 넘어, 전라남도 행정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전라남도가 주도적으로 나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성하고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촉구 건의안은 대통령실, 국회, 국무총리실,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관계 기관에 전달될 예정이며, 정영균 의원은 앞으로도 수계 관리의 행정적 사각지대 해소와 환경정비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 대응에 힘쓸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고성군, 명태축제 기간 고향사랑기부제 홍보부스 운영

[뉴스스텝]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제25회 고성명태축제 기간 중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부스를 운영하며 제도의 취지와 참여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이번 축제 기간에 재안산고성군민회에서 500만 원, 초대가수 한수영·최홍림 씨가 100만 원, 양천구 강원향우회 홍기영 회장이 100만 원을 기탁했다.또한 화진포에 ‘7번 국도’ 노래비를 설치한 장민호 팬클럽 회원들이 1,010만 원을 기부하는 등 지역을 사랑하는

제315회 함안군의회 임시회 곽세훈 의원 5분 자유발언

[뉴스스텝] 지난 20일 함안군의회 제31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곽세훈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칠서면 연 시배지의 역사적 가치 재생과 지역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곽세훈 의원은 칠서면에서 1950년대부터 연근 재배를 시작하여 우리 군의 연 시배지로 한때 전국 연근 재배 면적의 12%를 차지할 만큼 지역의 중요한 특산물이자 생계 기반이었음을 강조하며, 현재는 개별 농가 중심의 재배만 이어지고 있어

군산시, 새만금의 진짜 이야기 알린다!

[뉴스스텝] 군산시가 새만금의 진짜 모습을 알리기 위해 시 홈페이지에 ‘군산새만금’ 전용 메뉴를 새롭게 개설했다고 21일 밝혔다.‘군산새만금’ 메뉴는 복잡한 행정·법률 용어 대신 시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설명으로 꾸며졌다.특히 세부적으로 △군산에서 시작되는 새만금 △새만금 해양거점도시 군산 △군산시의 새만금 관할권 주요논리 △새만금 관할구역 결정 대응 현황 △군산새만금 홍보영상 총 다섯 개의 항목으로 자세하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